
[더퍼블릭=최얼 기자]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의 허위녹취록 파문이 일파만파 퍼지고 있는 가운데, 김 씨가 신학림 전언론노조 위원장과 녹취록 속에서 언급한 내용중 객관적 사실과 다른내용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여권지지층에서 나오고 있다. 객관적인 사실을 비춰볼 때, 녹취록속 김만배 씨의 주장이 사실과 다른부분이 많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들은 ▲검찰시절 윤석열 대통령과 박영수 전 특검과간 인연이 2017년 국정농단 사건에만 존재했을 뿐, 녹취록에서 언급하고 있는 2011년에는 인연조차 없었던 점 ▲부산저축은행 수사 당시 대장동 대출은 수사대상조차 되지 않았던 점 등을 통해 녹취록속 김만배씨 발언이 사실과 다르다는 점 ▲법조계 기자 출신인 김만배 씨가 이 같은 사실을 모른채 신학림 씨에게 언급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 ▲사건의 당사자인 대출브로커 조우형씨 조차 윤석열 검사를 본 적 없다고 언급했던 점 등을 근거로 비판한다.
최병묵 전 월간조선 편집장은 16일 본인의 유튜브채널 최병묵의 팩트에서 김만배-신학림 인터뷰 내용의 맹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먼저 최 전 편집장은 2011년 대검찰청 중수2과장으로 근무했던 윤석열 검사가 부산저축은행 사건을 무마해서 대장동의 씨드머니를 덮이도록 했다는 김만배 씨의 주장이 거짓임을 명확히 밝혔다. 그러면서 김 씨가 “윤석열이랑 박영수랑 친했어”라는 신 씨의 질문에 “데리고 있었지, 그냥 봐줬지”라고 언급한 부분이 사실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최 전 편집장은 “객관적 사실보면 대장동사건의 씨드머니 부분은 2011년 당시 수사대상 아니었다”라며 “그래서 조우형 씨도 자기한테 커피타 준 사람은 직원들, 만난 검사는 박길배검사 라며 윤석열 검사는 만나지도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문재인 정부 검찰 조우형 입건도 못했다. 정말 윤석열 검사 만나면서 대충 조사받고 나갔다면, 당연히 수사무마 의혹 이 부분에 대한 조사를 문재인 정부 검찰들이 안할 리가 없다”고 설명했다. 조 씨가 당시 수사대상도 아니었으며, 2011년 당시가 대장동 문제가 수사물망에 오르내리지 않았다는 점을 설명한 것이다.
이어 최 전 편집장은 “그러면 김만배-신학림 인터뷰 중 어디까지가 허위인가”라며, 김 씨 주장이 허위인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조 씨 주장에 따르면, 김만배 씨는 조 씨에게 “부산저축은행처럼 큰 수사는 특수사건에 능통한 변호사를 써야한다”며 대검중수부장 출신의 박영수 전 특검을 법률자문 변호사로 추천했고, 이를 받아드린 조 씨는 이후 대검 중수부에가서 조사를 받게된다.
조 씨는 당시 박 전 특검을 소개받는 과정에서 윤석열 검사에 대한 어떤 언급도 없었다고 한다. 더군다나 이 당시 조 씨가 중수부에서 받았던 조사는 부산저축은행 내부의 혼맥에서 비롯된 부실대출 여부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아예 대장동 대출문제는 수사 대상조차 아니었다는 것이다. 즉, 대검 중수부에서 조사를 받기위해 박 전 특검을 선임했을 뿐, 윤 대통령과 조 씨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었다는 것.
문제는 조 씨뿐 아니라, 박 전 특검도 2011년 당시 윤석열 검사와 인연이 없었다는 것이다. 최 전 편집장은 “김만배 씨가 ‘박영수가 윤석열 데리고 있었지’라고 언급했는데, 윤석열 검사와 박영수 검사의 이력을 보면 그 둘은 검찰시절 이력이 겹친 적이 없다”고 전했다. 최 전 편집장은 또 “박영수가 윤석열 데리고 있었던때는 국정농단사건의 특별수사팀 거기서 데리고 있었다”라며 “김만배-신학림 녹취록에 나온 내용은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건 내용이다. 2011년 박영수가 윤석열 검사 데리고 있던 적이없다. 법조팀장 김만배씨가 이를 모를리 없다. 이런 거짓말을 김만배가 적극적으로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즉 요약하자면, ▲박 전 특검과 윤석열 검사의 인연이 검찰 이력상 2011년 당시 존재하지도 않았던 점 ▲김만배 씨가 언급한 2011년 당시는 대장동의 씨드머니 문제가 수사대상 조차 아니었던 점 ▲사건의 당사자 조 씨조차 윤석열 검사를 본적조차 없다고 설명한 점 ▲법조기자출신이자 팀장을 맡은바 있던 김만배 씨가 이 같은 사실을 모르고 신학림 씨에게 언급할리 없다는 점 등을 토대로 김만배씨 주장이 의도적으로 녹취된 허위사실이라는 것이다.
현재 정치권 안팎에선 김만배 씨의 허위인터뷰뿐 아니라, 김병욱 의원 보좌관의 조작녹취 의혹까지 터져나온 상황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 같은 허위녹취록 생산에 배후가 있는게 아니냐는 의구심 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아직까지 가짜녹취록 생산 및 가짜뉴스 배포의 배후가 밝혀지진 않았다. 이에 정치권의 시선은 해당사건의 수사를 맡은 검찰에게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