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압박이 미국 소비자물가를 결국 끌어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의 값비싼 청구서가 미국 시민들에게 향한 것이다.
특히 이 같은 소비자물가 인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사임’을 압박하고 있는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예언’이 그대로 맞아떨어지면서 시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미 노동부는 이날 미국의 지난달 CPI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으며, 전월과 비교해선 0.3% 올랐다고 발표했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의회 증언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도 6∼8월 경제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의장의 발언처럼 고스란히 반영된 것이다.
이날 발표된 지난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반등한 것도 관세 여파가 서서히 나타난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백악관은 이날 6월 CPI 발표 직후 “트럼프 대통령 아래 인플레이션은 목표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있다”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보도자료에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매월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데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지표인 근원 인플레이션은 예상치를 하회하거나 부합했다”며 “이 데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이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고 있으며 관세로 물가가 오를 것이라는 공황주의자(Panican)들의 주장이 계속 틀렸다는 것을 입증한다”고 주장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