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대통령이 동맹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상대로 무차별 관세폭탄을 이어가면서 이 같은 관세정책이 미국을 더 부유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미국 시장에 먼저 ‘관세한파’가 불어닥치고 있다.
그간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미국을 더 부유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최근에는 관세의 물가 인상 요인을 완전히 부정하기보다는 미국 경제의 체질 개선을 위해 당분간 감내해야 할 비용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는 지난달 30일 각료회의에서 “어쩌면 아이들이 인형을 30개 대신 2개를 가지게 되겠다. 그리고 어쩌면 그 인형 2개가 평소보다 몇 달러 더 비싸지겠다”라고 말해 물가 부담 우려를 인정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가운데 트럼프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게 금리를 인하하라고 압박하고 나섰지만 정작 연준은 실업 및 인플레이션 우려에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파월 의장은 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기준금리를 4.25∼4.50%로 세 번째 동결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기준금리 인하 요구에 대해 “우리의 직무 수행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 국민의 이익을 위해 고용 극대화와 물가 안정을 촉진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며 “경제 지표와 전망, 위험 균형이 우리가 고려하는 것의 전부”라고 강조했다.
그간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로 미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파월 의장을 향해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뜻), ‘루저’(loser)라고 비판하는 등 파월 의장과 연준을 향해 금리 인하를 지속해서 압박해왔다.
파월 의장은 연준은 금리 동결 결정을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 증가했다”면서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질 위험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연준은 최대 고용을 달성하고 인플레이션을 2%로 유지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는데 이 양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가 더 어려워졌음을 시사한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양대 목표(최대 고용·물가 안정)가 (서로) 긴장 상태에 놓이는 도전적인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나면 우리는 경제가 각 목표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각 (목표와 현실 간) 간극이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둔화하면 물가도 낮아지고 실업률이 올라가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양대 목표를 둘 다 달성할 수 있지만, 관세는 물가와 실업률을 둘 다 높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연준이 둘 중 하나를 우선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지금은 연준이 그런 선택을 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기준금리를 당장 조정하기보다는 경제 상황을 더 관망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