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 시행 이후 10억원을 초과하는 고가 아파트 계약 취소 ‘비중’이 줄어든 반면 20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의 경우, 일부 신고가 경신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 대출 규제가 사실상 막히면서 '현금'으로만 매매가 가능한데, 일부 최고가 아파트에서는 매매 시장이 여전히 이어지는 데다가 희소성을 가진 매물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6·27 대책 전후 한 달간 아파트 시장의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의 매매 감소율(-72.5%)이 비수도권의 매매 감소율(-39.9%)보다 약 1.8배 더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의 직접적인 타깃이었던 수도권 시장의 매수 심리가 비수도권보다 훨씬 더 크게 위축된 것이다.
하지만 매매 건수 위축 속에서도 소수의 핵심 자산으로 매수세가 몰리며 가격 상승을 이끄는 쏠림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알려졌다.
6·27 대책 이후 수도권에서 20억원 초과 아파트는 매매가 대책 이전 한 달 대비 85.8% 급감하며 가장 큰 폭으로 줄었지만, 신고가 비율은 66.1%로 모든 가격대 중 가장 높았다.
매매가 이뤄진 이 가격대의 아파트 3건 가운데 2건이 신고가를 경신한 것이다.

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 역시 같은 기간 매매가 79.2% 감소했음에도 신고가 비율은 12.1%로 모든 면적대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이는 대출 의존도가 낮은 자산가들이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 가장 안전하고 희소성 높은 자산으로만 선택적으로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집토스는 분석했다. 사실상 대출없이 현금으로만 살 수 있어 규제 또한 무용지물인 셈이다.
건축 연도별 분석에서도 양극화는 명확했다. 6·27대책 이후 수도권에서 신고가 비율이 가장 높은 아파트는 ‘5년 이하 신축’(12.7%)이었으며 그 다음은 재건축이라는 미래 가치를 품은 ‘30년 초과 노후 구축’(9.5%)이었다.
집토스 이재윤 대표는 “6·27 대책은 수도권 아파트 시장을 침체와 과열이 공존하는 양극화 시장으로 만들었다”면서 “대출 규제로 대다수 일반 아파트의 거래가 끊겼지만, 희소성 높은 초고가·신축·재건축 단지로만 수요가 집중되며 오히려 가격 상승 압력이 더 커지는 ‘그들만의 리그’가 공고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당분간 이러한 ‘똘똘한 한 채’로의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