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대책과 규제에도 ‘신고가’ 찍더니…‘부동산’ 이슈로 또 다시 밀린 기준금리 인하

강력한 대책과 규제에도 ‘신고가’ 찍더니…‘부동산’ 이슈로 또 다시 밀린 기준금리 인하

  • 기자명 김미희 기자
  • 입력 2025.10.06 08:4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김미희 기자]기준금리 인하가 10월을 넘어 다시 11월로 예측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당초 10월로 점쳐왔던 증권가가 최근 들어 ‘11월 인하’로 선회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부동산 문제가 결국 금리 인하 시점을 늦춘 것으로 풀이된다. 금리 인하가 결국 시장에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이번에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이창용 총재를 필두로 한국은행의 핵심 스피커들로부터 부동산 시장 과열 해소와 금융 안정에 방점을 염두에 둔 발언을 이어오고 있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애초 채권 전문가들은 지난 8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이 결정됐을 당시만 해도 10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부동산 시장이 주요 변수이긴 하지만 미국발 관세로 인한 기업 심리 위축과 수출 감소 문제 등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달 이 총재를 비롯해 한은발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발언이 잇달아 나오자 최근 들어서는 10월 인하도 물 건넜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이 총재는 지난달 16일 서울대 경제학부 주최로 열린 특강에서 “금리 0.25%포인트 인하를 한두 달 미뤄도 경기를 잡는 데는 큰 영향이 없는데, 금리 인하 시그널로 서울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더 고생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틀 뒤인 18일 미국 워싱턴 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 방문 때는 “중립 금리를 고려할 때 금융 안정을 전체적으로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한국이) 다른 나라보다 약간 더 높은 금리를 유지하는 게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특히 시장의 이목이 쏠린 인물은 신성환 금융통화위원이었다.

관심을 끈 것은 “금융 여건 완화(기준금리 인하) 과정에서 금융 불균형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당분간 거시건전성 정책의 강화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발언으로, 지난달 25일 한은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실렸다.

8월 금통위 회의 때 성장을 우려해 기준금리 인하로 소수의견을 제시했기에 시장은 신 위원의 기조 변화에 더욱 촉각을 세웠다.

이처럼 한은이 통화정책의 방점을 금융 안정에 분명하게 찍었지만, 주택시장은 강남 등 일부 지역의 가격 상승이 이어지며 과열이 식지 않는 분위기다.

지난달 발표된 소비자동향조사에서 9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하락했으나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오름세를 지속해 향후에도 주택가격이 쉽게 잡히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김성수 한화증권 연구원은 “강력한 대책과 규제로 더는 벌어지지 않을 것 같았던 서울-지방 아파트 가격 격차가 전고점을 경신했다”며 “지금은 금융 안정에 조금 더 중점을 두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런 상황에서 10월 인하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했다.

그는 기준금리 인하 예상 시점을 기존의 10월에서 11월로 변경하고, 더 나아가 “올해 인하가 이번 통화정책 사이클의 마지막 조정이며 내년에는 연 2.25% 기준금리가 계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중앙은행이 중시하는 지표에서 불안한 모습이 확인됐다면 굳이 위험 부담을 지고 인하를 빨리, 그리고 많이 할 이유는 없을 것”이라며 “연내 인하 시기는 11월로 이연될 것이며 부동산 시장이 진정되지 않으면 내년 통화정책 기조에서 ‘추가 1번 인하’도 장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