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당국, 환율대책 협의…전략적 환헤지·스와프 연장 카드 부상

외환당국, 환율대책 협의…전략적 환헤지·스와프 연장 카드 부상

  • 기자명 안은혜 기자
  • 입력 2025.11.24 17:50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한은·국민연금·복지부 4자 환율 대책 협의체 가동

원/달러 환율이 1.5원 오른 1477.1원으로 집계된 24일 서울 중구 명동의 사설 환전소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환전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원/달러 환율이 1.5원 오른 1477.1원으로 집계된 24일 서울 중구 명동의 사설 환전소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환전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더퍼블릭=안은혜 기자]외환당국이 원/달러 환율 불안과 관련 대책 협의에 나섰다. 

사실상 ‘환율 비상 공조 체제’에 들어가면서 국민연금의 대규모 해외 투자가 외환시장 수급에 미치는 변동성을 줄이는 방안이 비중 있게 다뤄진 것으로 보인다.

24일 관가 등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보건복지부·한국은행·국민연금은 이날 달러·원 환율 안정을 위한 비공개 회의를 개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회의는 지난 1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긴급 시장점검회의를 가진 뒤 "국민연금 등 주요 수급 주체와 논의하겠다"고 밝힌 이후 열흘 만의 후속 조치다.

정부는 이날 킥오프 회의를 시작으로 필요 시 수시 회의를 열어 시장 상황과 대응 수위를 조정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국민연금의 해외 자산 비중이 높아 달러 수요가 구조적으로 커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올해 8월 말 기준 국민연금 전체 자산 1322조원 중 43.9%(약 581조원)가 해외 자산이다. 해외 주식·채권 매입 과정에서 달러 수요가 발생해 환율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략적 환헤지(Strategic FX Hedge) 방안이 논의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략적 환헤지는 환율이 사전 설정한 기준을 넘을 경우 보유 중인 달러 표시 해외 자산의 10%를 매도해 시장에 달러 공급을 늘리는 방식이다. 

정부는 이 방안으로 환율 안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국민연금을 환율 안정 수단에 적극적으로 동원하는 것 자체가 국민의 노후자산 운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시선도 나온다.

아울러 한국은행과 국민연금 간 외환 스와프(Foreign Exchange Swap) 계약 연장 여부도 논의될 것으로 전해졌다.

양 기관은 연말까지 650억달러 규모의 외환 스와프 계약을 체결했으나 올해 6∼7월 달러·원 환율이 하락하면서 사실상 중단된 상태였다. 외환 스와프는 국민연금의 현물환 매입 수요를 흡수해 외환시장 안정에 기여하는 목적을 갖는다.

국민연금은 기금 운용의 기본 원칙을 수익성으로 두고 있어 정부 요청에 따라 환헤지를 실시할 경우 수익률 하락 우려가 제기된다. 

또 미국 재무부가 한국을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하며 정부 투자기관의 환율 영향까지 점검하겠다고 밝힌 점도 부담 요인으로 언급됐다.

당국이 서둘러 공조에 나선 배경에는 고환율 고착화 우려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이상 수준으로 장기화 된 것은 과거 IMF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미국발 고금리·레고랜드 사태, 비상계엄기 등 이후 나타났던 현상이다. 

원화 약세도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올해 10월 말 기준 한국의 실질실효환율(REER·2020년=100)은 89.09로, 2009년 8월(88.88) 이후 16년 2개월 만에 가장 낮다. 

연금 업계 안팎에서는 "수익성 중심의 기금운용 원칙은 지키되, 환율 급변 등 거시환경이 기금과 시장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더퍼블릭 / 안은혜 기자 weme35@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