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줄기찬 금리 인하 압박에도 버텼던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결국 인하했다. 다만,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의한 금리 인하는 아니다. 미국의 고용 등 경제 전반 상황이 나빠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연준은 17일(현지시간) 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인하했다.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이후 5번 연속 동결 행진을 이어오다가 9개월 만에 내린 것으로, 트럼프 행정부 들어선 첫 금리 인하다.
그간 끝없는 금리 인하 압박에도 연준은 금리를 내리지 않았는데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17일(현지시간) 고용시장의 하강 위험이 증가한 점을 반영해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결정을 ‘위험관리 인하’(risk management)라고 볼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올해 성장률 둔화와 실업률 상승, 인플레이션 반등 위험에도 불구하고 현 미국 경제 상황에 대해선 “나쁘지 않다”면서도 “오늘 결정의 초점이 된 것은 우리가 노동시장에서 보고 있는 위험들”이라고 부연하기도 했다.
파월 의장은 또 “이번 결정을 두고 ‘위험관리 인하’(risk management cut)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경제전망을 보면 실제로 올해와 내년 전망치가 상향 조정됐고,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실업률이 (8월) 4.3%이고, (올해 상반기) 성장률이 1.5%라고 하지만, 경제가 나쁜 것은 아니다(It‘s not a bad economy)”라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의 이 같은 발언은 미국 경제가 현 시점에서 그다지 나쁘지 않지만, 예상을 밑돈 고용 증가로 인해 노동시장 약화 우려가 커진 게 이날 기준금리 인하 결정의 주된 배경이 됐음을 명확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트럼프발 관세 위협이 아직 도사리고 있다고도 내다봤다. 파월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올해 남은 기간과 내년 중 지속해서 누적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관세 영향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이 남아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관세의 물가 영향에 대해 “상품 가격 상승이 올해 인플레이션 상승의 대부분을 설명하고 있다”며 “현시점에서 이는 매우 큰 효과는 아니지만 올해 남은 기간과 내년 지속해서 누적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말했다.
다만, 관세가 상품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현상은 현재까지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주로 중간 공급망에서 관세 비용이 흡수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를 수출업자들이 지불하지 않고, 대부분 수출업자와 소비자 사이에 있는 회사들이 지불하고 있다”며 “시간이 지나면 비용을 전가할 의도가 있다고 말하지만 지금은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전가가 예상보다 더 느리고 작았지만, 일부 전가가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과, 측근인 스티븐 마이런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의 연준 이사 임명, 리사 쿡 연준 이사 해임 시도 등으로 대변되는 연준 독립성 우려에 대해 “우리는 어떤 것에도 주의를 흐트러뜨리지 않은 채 우리가 할 일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이번 금리 인하가 압박에 의한 것이 아님을 강조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