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국내 증시가 정부의 밸류업 정책에 이어 미국의 금리인하 및 중국의 부양책에도 여전히 약세장을 이어나가는 가운데 국내 증시가 ‘상승장’에 베팅한 개인투자자들이 대거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 증시 하락에 베팅하거나 중국 증시에 투자한 기관 및 외국인은 수익률이 상승했다는 평가다.
7일 서울경제는 코스콤 ETF체크를 인용, 지난 2일 기준 최근 한 달 동안 전체 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 중 개인 순매수 1위는 코스피지수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는 ‘KODEX 레버리지’가 차지했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개인들은 한 달간 이 상품을 총 3092억 원어치를 사들였지만 같은 기간 수익률은 -11.02%을 기록했다. 또 ‘TIGER미국S&P500(933억 원)’. ‘TIGER미국배당다우존스(814억 원)’, ‘KODEX200(706억 원)’ 순으로 순매수했지만 이들 역시 수익률은 일제히 우하향했다.
이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 기간 중 개인 순매수 1~20위까지 중 상승한 상품은 ‘TIGER 인도니프티50(0.84%)’가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관 순매수 1위는 지수 하락의 2배에 베팅하는 ‘KODEX200선물인버스2X(2312억 원)’가 차지했다. 이 상품은 한달간 11.22% 상승했다. 개인과 달리 시장 하락에 베팅한 기관들의 판단이 주효한 셈이다.
또 9월에는 중국 정부의 부양책으로 오랜 기간 조정을 거친 중국 투자 상품들이 급등하면서 기관이 다수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KODEX 차이나H레버리지(H)(179억 원)’는 기관 순매수 3위를 기록했는데 이 상품의 수익률은 한달새 66.46%까지 치솟았다.

외국인 역시 ‘TIGER차이나전기차SOLACTIVE(615억 원)’, ‘TIGER차이나항셍테크(304억 원)’ 등을 순매수 상위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도 기관과 외국인은 다양한 인버스 상품과 2차전지 관련 상품에 투자해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글로벌 훈풍에도 불구하고 국내 증시가 약세를 보이는 데에는 국민 간판주라고 일컬어지는 삼성전자 주가가 하락하는 것도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오는 8일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발표가 예고되면서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경제지표 개선과 중국 경기부양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코스피가 부진한 이유에 반도체가 있다. 코스피의 반작용 국면 진입을 위해선 반도체 업황 및 실적 불안심이 완화돼야 한다”고 짚었다.
이어 “실적 전망 대비 극심하게 저평가된 주가 수준을 고려하면 반도체주가 반등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전망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