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검찰이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허위보도 의혹’ 수사를 이어가는 가운데, 이번에는 해당 기사들이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후보작으로 추천됐던 사실에 주목하고 수상 신청 ‘공적설명서’를 확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언론인 출신 대장동 민간업자인 김만배 씨가 자신의 개발비리 연루 사실 등을 은폐하기 위해 언론을 통해 책임소재를 돌리려 했고, 그 과정에 뉴스타파, JTBC, 리포액트, 경향신문, 뉴스버스의 잘못된 보도가 나온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2일 검찰 관계자는 “기사의 한꼭지, 한단락을 문제 삼아 수사하는 것이 아니다”며 “전체적 흐름 속에서 이뤄진 취지 등이 사실관계를 왜곡한 정황이 있다고 판단돼 수사하는 것”이라고 했다.
특히 5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검찰은 지난 대선 국면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부산저축은행 수사무마 의혹’을 제기한 보도를 두고 사법처리 여부와 범위를 판단하기 위해 언론사의 내부 기사화 과정을 따져볼 방침이다.
이 매체에 따르면 강제적인 방식을 우선순위에 두는 것은 아니지만 취재자료 검토와 기사 수정 등 내부 의사 결정 과정을 확인할 필요는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檢, 사법처리 여부 판단 위해 내부 기사화 과정도 따져볼 방침
이를 바탕으로 당시 취재·보도 과정을 재구성해 기자들이 어렴풋이라도 허위 가능성을 인식했는지, 윤 대통령을 비방할 목적이 있었는지를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6일 아시아경제 보도에 따르면 6일 검찰은 허위 보도가 의심되는 기사들이 ‘이달의 기자상’ 후보작으로 추천될 당시 협회에 제출된 공적설명서 내용을 기초로 사실관계를 구성하고 수상 신청 ‘공적설명서’를 확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달의 기자상’은 기자협회가 한 달간 국내 언론 보도 기사 중 가장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기사를 선별해 해당 기사를 취재·작성한 기자들에게 주는 상이다. 매달 초 후보작을 추천받아 심사한 뒤 수상작을 정한다. 해당 언론사는 수상 신청을 하면서 ‘기사를 쓰게 된 경위’와 ‘취재 과정’ 등을 기록한 공적설명서를 내야 한다. 심사 과정에서 기사의 신빙성을 인정받고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대체로 공적설명서는 상세하게 작성한다.

기사 경위와 취재 과정 기록한 ‘공적설명서’ 파악
이러한 가운데 아시아경제 보도에 따르면 JTBC 봉지욱 기자 등은 2022년 2월 기자상 추천작으로 2022년 2월18일~3월7일에 쓴 대장동 검찰수사 관련 기사 14편을 출품했다고 전했다.
검찰은 이 중 봉 기자가 2022년 2월21일 보도한 ‘[단독]대검 중수부 처벌 피했던 ‘대장동 자금책’…정영학 녹취록서 등장‘ 기사를 허위 기사로 의심하고 있다. 봉 기자가 2021년 10월 조우형씨와 만나 ’윤석열 검사를 만난 적이 없다‘ 등의 설명을 듣고도 이를 빠뜨린 채 “커피를 타 준 주임검사가 윤 대통령”이라는 취지로 보도했다는 것이 검찰의 판단이다.
또 이 매체에 따르면 경향신문 기자들은 2021년 10월 기자상 추천작으로 ‘부산저축은행 대장동 대출’에 대한 검찰의 부실수사 의혹에 대해 보도한 기사를 올리고 공적을 설명했다.검찰은 당시 경향신문이 수일에 걸쳐 낸 일련의 대장동 관련 보도에 사실관계 왜곡이 있었다고 의심한다. 경향신문 기자들은 “제보 내용이 의혹 수준이었고, 브로커(조우형)의 기초정보가 포함돼 있지 않아 대장동 개발 시행사 관계자들을 통해 조우형이 PF대출 후 그 대가로 10억원을 챙겼다는 진술을 확보했다”고 적었다.

기자들은 이어 “설득 끝에 조우형씨를 만나 당시 상황을 들었고, 시행사 씨세븐의 이강길도 만나는 등 추가 취재한 결과 당시 검찰이 불법 대출 알선 수수료의 존재를 몰랐다고 믿기는 어려웠다. 통상 계좌 추적 영장 청구를 결재하는 주임검사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었다”고 취재 경위를 설명했다.
한편 아시아경제 보도에 따르면 검찰의 수사 대상 매체가 5곳에서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