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제헌절을 국가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제헌절은 1949년~2007년까지 국경일로 지정됐지만, 주5일제 도입과 맞물려 공휴일이 축소되어 2008년 공휴일에서 제외됐다. 이로인해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등 5개의 국경일 중 공휴일이 아닌 날은 제헌절이 유일하다.
이 대통령은 1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7월 17일 제헌절을 국민이 국가의 주인이라는 헌법 정신을, 국민 주권 정신을 다시 되돌아보는 좋은 계기로 만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며 "향후에 제헌절을 특별히 기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휴일로 정하는 방안을 검토해 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작년 12월 3일 군사 쿠데타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 국민들이 그야말로 헌법이 정한 것처럼 주권자의 역할과 책임을 다해 민주헌정 질서를 회복했다"며 "7월 17일은 헌법이 제정·공포된 날을 기념하는데, 소위 ‘절’로 불리는 국가기념일 중에 유일하게 휴일이 아닌 것 같다"며 휴일제정에 긍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이밖에도 이 대통령은 포스코 광양제철소 추락사고를 언급하며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 소식이 계속 들려오는데 ‘아니, 아직도 이런 사고가 이런 식으로 발생하나’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 14일 전남 광양시 금호동 포스코 광양제철소 내 배관 철거 작업 도중 추락 사고가 발생해 60대 근로자 1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다.
이 대통령은 “특히 안전을 비용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이 있어 보인다. 우리 사회 풍토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원칙들을 잘 지켜나갈 수 있음 좋겠다”며 “전 세계에서 또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에서 산업재해, 사망재해율 가장 높다는 이 불명예를 이번 정부에선 반드시 끊어내야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아울러 최근 대전에서 어머니와 아들이 사망한 지 20여일 만에 발견된 사건과 관련해서도 “이런 비극 반복되고 있는 점에 대해서 큰 책임을 느낀다”며 “우리 정부가 꼭 신청해야 움직이는 소극행정에서 탈피해서 이런 사각지대, 안전망에서 추락하는 그런 일들 생기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적극행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폭우가 내리는 상황에 대해서는 “인명피해 우려 지역에 대한 안전점검, 긴급 대응에 만전을 기해주시길 바란다”며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일에 작은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