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우선적인 국방력 강화 정책”으로 판단하고 있는 정찰 위성 개발에 대해 러시아가 ‘협력’ 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우리나라 입장은 조금 복잡해 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러 정상회담으로 인한 무기 거래 가능성이 나오면서 서방 세계에서는 북한의 포탄 지원 등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북한이 우주 강국인 러시아의 기술 조언을 받아 정찰위성을 개발할 경우 남북간 갈등이 더욱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 군사정찰위성 개발 지원을 공언하면서 북한과 러시아 간 위성 분야 협력이 어떻게 진행될지 면밀히 살펴봐야 할 필요가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13일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열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 앞서 북한 위성 개발을 도울 것이냐는 질문에 “그래서 우리가 이곳(우주기지)에 온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프로그램과 관련해 부과한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에 동참한 러시아가 이에 따른 의무들을 준수하겠지만 그러면서도 북한과 군사기술 분야 협력을 추진할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최고지도자급에서 위성 개발 협력 ‘공언’‥南北 관계 변화 일어나나
이처럼 최고지도자급에서 위성 개발 협력을 공공연히 밝힌 이상 북러는 신속하게 이행에 나설 공산이 크다. 전문가들은 양국 간 위성 협력이 우주발사체와 위성 본체, 관련 시험설비 등의 분야에서 진행될 수 있다고 예측한다.
우주발사체의 경우 김정은이 보스토치니 기지에서 살펴본 ‘안가라’ 로켓을 러시아가 북한에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그려볼 수 있다.
안가라 로켓은 2013년 발사에 성공한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의 1단과 엔진이 같다. 나로호 성공 배경에 안가라 로켓이 있었던 것으로, 이 로켓이 북한에 간다면 남북이 러시아 기술을 공유하는 셈이 된다.
다만 지난 5월 31일과 8월 24일 두 차례 실패한 군사정찰위성 발사에서 독자적인 ‘천리마 1형’ 발사체를 적용한 북한이 이를 포기하고 로켓 자체를 러시아로부터 들여올 가능성은 작다는 분석이 많다.
이처럼 북러 정상회담이 서방 세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양국간의 ‘밀착’을 보여주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14일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과 관련해 “군사 협력과 무기거래에 대해 깊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전문가들, “동북아 국제 정치의 판이 흔들리는 상황”
이에 14일 조선일보는 북‧러 정상회담을 두고 군사 분야 ‘밀착’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전했다.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남성욱 고려대 교수는 “유엔 안보리를 통해 북한을 압박하고 협상장에 나오게 하는 지난 30여 년의 접근법이 러시아의 이탈로 물거품이 되고 있다”며 “동북아 국제 정치의 판이 흔들리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이용준 세종연구소 이사장은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팔아 경제적 지원을 받고, 러시아로부터 핵잠수함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을 전수받을 경우 한국 안보에 직접적이고 엄청난 위해가 될 것”이라고도 분석했다.
또 두진호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김정은이 회담을 위해 3박 4일간 열차를 탔다는 것은 (러시아로부터) 얻어야 할 게 있기 때문”이라며 러시아가 자국 우주 발사체에 북한 인공위성을 탑재해 쏴줄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하는 등 각 전문가의 의견을 보도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