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지난달 13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北)‧러 정상회담을 두고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에서 무기 거래 가능성을 우려한 가운데, 북한이 러시아에 대포를 이전하기 시작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5일(현지시간) CBS뉴스는 익명의 미국 정부 당국자를 인용, 북한이 러시아에 대포를 이전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CBS뉴스에 따르면 이번 무기 이전이 새로운 장기 공급의 일부인지, 더 제한적인 규모의 선적인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또 북한이 반대급부로 무엇을 받는지도 확실하지는 않다고 전했다.
다만, 북한의 이러한 무기 이전에 지난달 러시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의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지난달 13일 조선일보는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을 인용 보도했는데 해당 신문은 지난달 12일 김정은이 지난 10일 오후 전용 열차로 평양을 출발한 사실을 알리며 “당과 정부, 무력 기관의 주요 간부들이 수행하게 된다”고 인용 보도했다.

특히 이 매체에 따르면 김정은 수행단엔 북한 외교 사령탑인 최선희 외무상을 비롯 군 서열 1~2위 인사인 리병철 노동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과 박정천 당 군정지도부장 등 군 핵심 간부들이 대거 포함됐다고 전했다.
아울러 주요 간부들 중에는 북한이 러시아에 제공 가능한 재래식 포탄 생산 담당자인 조춘룡 당 군수공업부장, 박태성 노동당 비서(정찰위성 담당), 김명식 해군사령관(핵추진잠수함 개발 책임자) 등 군부 실세들도 다수 동행한 것으로 전했다. 실제로 무기 거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한편 6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러시아 무기와 호환 가능한 최소 100만톤 이상의 탄약을 비축 중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100·115㎜ 전차 포탄 △122·152㎜ 자주포 포탄△박격포용 포탄과 구식 돌격용 소총 등이다.
이에 미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북한이 러시아 용병단 바그너 그룹에 보병용 로켓과 미사일 등을 판매했다”고 발표한 데 이어 지난 7월과 지난달 북·러 간 탄약 수송 등 무기 제공에 관여한 인물들을 제재 명단에 올리는 등 북한과 러시아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