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전한 한중 비공개 회담 발언에서, 중국 측이 뼈 있는 메시지를 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1일자 신화통신 보도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경주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소통·신뢰 강화와 호혜협력을 강조했지만, '모순'(矛盾·문제 혹은 갈등의 의미)을 이례적으로 언급하고 '핵심이익'을 강조하는 등 한국이 미국의 대중 견제에 동참할 가능성에 대한 견제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 주석은 이날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중한 양국은 이사 갈 수 없는 중요하고 가까운 이웃이자 떼려야 뗄 수 없는 협력 동반자"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양국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소통 강화와 협력 심화를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이어진 비공개 회담에서 시 주석은 뼈있는 말을 이 대통령에게 내뱉은 것으로 확인된다. 시 주석의 '속내'는 이어진 '중한관계의 새로운 국면을 열기 위한 4가지 제언' 부분에 있었던 것이다.
시 주석은 양국이 장기적 협력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 전략적 소통 강화와 상호신뢰 기반 다지기 ▲ 상호이익 협력 심화 ▲ 국민 간 감정 개선과 민간교류 증진 ▲ 다자협력 강화 등 4가지를 제시했다.
시 주석은 이 가운데 '전략적 소통 강화와 상호신뢰 기반 다지기'와 관련해서는 "차이점 속에서 공통점을 찾고 협력과 상생을 추구해야 한다. 각자의 사회제도와 발전 경로를 존중하고, 서로의 핵심 이익과 주요 관심사를 배려하며, 우호적 협의를 통해 모순과 의견 차이를 적절히 잘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서 '차이점 속에서 공통점을 찾는다'(구동존이·求同存異)나 '핵심이익과 주요 관심사 배려'는 과거에도 한중관계를 설명할 때 중국이 사용해온 표현이지만 '모순과 이견 적절 처리'와 함께 나온 점이 눈길을 끈다.
'모순'은 중국이 상대국과 갈등이나 대립 요소가 있다고 볼 때 쓰는 표현이고 '의견 차이' 역시 전략경쟁 상대인 미국이나 무역분쟁 등이 있는 국가와의 관계에서 주로 나온다.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중국은 박근혜 정부 당시 한국의 사드배치 결정에 반발하는 과정에서 모순이란 단어를 사용했다.
이에 야권지지층에서는 이 발언이 중국이 불편한 심기를 내뱉었다는 평가를 제기한다. 정치평론가인 최병묵 전 월간조선 편집장은 “중국이 모순이나 의견차이란 발언을 쓴 것은 한국의 핵잠발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라며 “앞으로 중국이 어떤 입장을 보일지가 예상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한테는 중국잠수함 추적한다고 얘기한게 먹혔을지 모르지만, 이는 중국을 어마어마하게 자극한 결과로 보인다”라며 “이 대통령의 핵잠발언은 ‘쎄쎄’만으로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