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불공정 수사‧재판을 우려한 미국측의 메시지가 이재명 정부 안보수장인 위성락 국가안보 실장에게 까지 전달된 것으로 전해진다.
당초 한국 국회의원들 면전에서 불공정 재판 문제를 지적했던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 부소장이 위 실장 면전에서도 똑같은 입장을 내비친 것이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1기 트럼프 내각에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비서실장을 지낸 이력이 있어 트럼프 최측근으로 통하는 인물이다.
29일 조선일보의 단독보도에 따르면, 플라이츠 부소장은 조선일보측에 이같은 입장을 내비쳤다고 한다. 플라이츠 소장은 “지난달부터 한국 정부 관계자, 의원들과 여러 차례 회의를 가졌고 (위 실장과의 면담에 관한) 내용을 언급하고 싶지는 않다”면서도 “윤 전 대통령이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아야 한다고(위성락 실장에) 강조한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트럼프 1기 때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비서실장을 지낸 여러 측근 그룹 중 한 명인 플라이츠 부소장은 지난 28일 자신의 SNS에서 “윤 전 대통령이 박해를 받거나 기소된다는 인식은 트럼프 정부에서 매우 나쁘게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초 위 실장과 플라이츠 부소장의 회동은 이달 초 워싱턴 DC에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진다. 이곳에는 워싱턴 DC의 대표적 친(親)트럼프 싱크탱크인 AFPI 출신으로 미 조야(朝野)에서 손에 꼽히는 중국 매파인 스티브 예이츠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도 배석했다고 한다. 예이츠 연구원도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백악관 부통령 안보보좌관을 지낸 인물이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윤 전 대통령이 부당한 대우·박해를 받거나 과도한 형량을 받았다는 인식은 미국에서 매우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라며 “경우는 다르지만 트럼프도 (퇴임 후) 정치적으로 박해를 받았기 때문이다. 트럼프 진영에는 한국의 정치 상황, 특히 최근 대통령 선거와 선거 이후 발생한 일들에 대해 매우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고 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한국에도 브라질과 비슷한 상황이 도래할 수 있느냐는 질의에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가까운 동맹의 전 대통령이 퇴임 후 박해를 받고 있다는 인식이 미국에서, 그리고 트럼프에게도 매우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답변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브라질과의 관계에 있어서 “자이르 메시아스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부당한 ‘탄압’을 받았다”며 최대 5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전임 대통령에 대한 룰라정부의 수사를 정치탄압으로 규정하며, 관세를 통해 내정간섭 논란을 부추길만한 행동도 서슴지 않은 것이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또 윤석열 전 대통령을 걱정하는 입장도 내비쳤다. 그는 윤 전 대통령과 관련된 언론 보도를 언급하며 “구금 상태에서 제대로 대우받지 못하고 있다”며 “사형이나 종신형에 처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데 나는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했다고 한다.
아울러 그는 한국이 한미 동맹을 강력하게 가져가면서도 중국·러시아와 관계를 관리하는 식으로 ‘균형’을 가져갈 수 있느냐는 질문에 “물론 아니다”라며 “미국은 수십 년 동안 한국과 강력하고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으며 현 정부에서도 그 관계가 계속 유지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이는 한국 정부의 균형회교 노선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친 것이다.
그는 또 “한국은 북·중·러의 점증하는 안보 위협에 맞서 미국·일본과 안보 동맹을 유지하고 단호한 입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이 부분에서는 실수의 공간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했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