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앞선다는 다수의 여론조사가 발표되는 가운데, 비명계에서 잇단 반발이 터져나오고 있다. 당이 조기 대선 경선 규칙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며 반발이 터져나온 것이다.
앞서 민주당은 일반국민 투표만 100% 반영하는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과 국민 여론조사 50%·권리당원 투표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 형식을 두고 고심을 거듭해왔다.
이러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12일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로 최종 확정하면서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이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 고영인 전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김동연 캠프는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또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선출된 16대 대선 경선부터 이재명 전 대표가 후보로 선출된 20대 대선 경선까지 모두 국민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며 “국민경선 포기는 국민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도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 룰에 대해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지금의 민주당 모습은 너무 위험하다”고 우려했다.
이어 “민주당이 야당 지도자를 인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했던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닮아가선 절대 안 된다”며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에 숙고하겠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도 “경선 룰을 정하는 과정에서 비민주적으로 했다”며 “역선택을 우려해서 결정한 것으로 들었지만 아쉽긴 하다”고 지적했다.
잇단 ‘중대한 결심’도 꺼내 들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3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당의 전통과 원칙을 훼손한 결정’이라며 재논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으면 별도의 입장을 낼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KBS 보도에 따르면 비명계 주자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처음으로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이 당의 경선 규칙 확정에 항의하며 당 경선 불출마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의원 측은 KBS와의 통화에서 “민주당 경선룰에 대한 항의성 침묵으로서, 일정을 전면 취소하고 장고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다만, 김 전 의원 측은 일각에서 이 같은 움직임이 ‘대선 불출마’로 해석되자 “정확히 말씀드리면 대선 불출마 검토가 아니라 민주당 경선 참여 ‘거부’와 ‘참여’를 놓고 내부에서 논의 중”이라며 “최종 결정은 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는 14일 “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결심했다”고 입장을 냈다. 이 전 지사는 당내 비명(비이재명)계 대권주자로 거론됐던 이 전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대선 승리와 내란 종식을 위해 제 모든 것을 바치겠다”고 밝혔다.
이 전 지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계엄 선포와 국회의 계엄 해제, 이후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를 언급하며 “끝난 줄 알았으나 끝난 게 아니었다. 상황은 더 엄중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압도적 승리로 내란 세력을 단호히 심판해야 한다”며 “51대 49의 피 흘리는 대선이 아니라 70대 30의 압도적 승리로 국민의 에너지를 하나로 모아야 분열을 넘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