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이원석 검찰총장의 지시로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명품 가방 의혹 수사 전담팀이 꾸려진 지 약 열흘, 김주현 신임 대통령실 민정수석이 임명된 지 엿새 만에 서울중앙지검장을 필두로 한 수사 지휘 라인이 전면 물갈이됐다.
또 이원석 검찰총장이 지방 순방으로 자리를 비운 사이 대검찰청 참모진도 대폭 교체됐다.
이처럼 시점과 인사폭이 묘하게 맞물리면서 검찰 안팎에서는 이제 막 본격화한 김 여사 관련 수사가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해석도 나온다.
특히 가장 큰 관심은 왜 김 여사 명품 가방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는 시점에, 전격적인 방식과 규모로 인사가 이뤄졌느냐 하는 점이다.
이에 검찰 일각에서는 실제로 수사 업무를 하는 것은 검사와 부장 검사이기 때문에 차장 검사가 바뀌었다고 해서 수사에 차질이 생기지는 않고, 이미 시작된 수사가 중단될 일도 없으리라는 시각이 있다.
반면 김 여사의 소환 여부, 방식 등 절차적인 부분은 검사장이 최종적으로 결정할 가능성이 큰 만큼 검사장과 지휘 라인 교체가 수사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이란 의견도 있다.
더구나 검찰 출신 ‘인사통’으로 알려진 김주현 민정수석이 부임하자마자 대규모 물갈이 인사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일종의 ‘수사 무마’ 시그널 아니냐는 해석도 일각에서는 조심스럽게 제기되는 상태다.
그간 법조계에서는 이 총장이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과 관련해 김 여사를 소환하는 문제를 놓고 대통령실과 갈등을 빚었다는 설이 제기된 바 있다. 여기에 최근 이 총장이 김 여사 명품 가방 의혹 전담 수사팀 구성을 지시한 후에도 정치권과 법조계에서 ‘용산-검찰 갈등설’이 새어나오기도 했다.
이처럼 이 총장이 명품 가방 의혹에 대한 신속·엄정한 수사를 지시한 후 이 총장의 참모들이 대폭 물갈이됐다는 점도 심상치 않다고 바라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임기를 약 넉 달 남긴 상황에서 팔다리 역할을 하는 부하들을 대거 잃은 셈이기 때문이다.
대검 내부적으로 법무부의 전격적인 인사 발표에 당혹스러워하는 기류도 감지된다.
이러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이번 검찰 인사가 김건희 여사에 대한 수사 뿐만 아니라 야권에 대한 수사도 제대로 하라는 ‘메시지’가 담겼다는 해석이 나온다.

즉, 이창수(사법연수원 30기) 신임 서울중앙지검장은 검찰 내 ‘친윤(친윤석열)·특수통 검사로 분류되는데, 이창수 신임 서울중앙지검장은 문재인 전 대통령의 사위였던 서모 씨의 타이이스타젯 특혜 채용 의혹 사건을 수사해 왔다.
16일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2021년 12월 한 시민단체의 고발로 전주지검에 배당됐던 이 사건은 수사가 지지부진하게 진행되다가 지난해 9월 이 지검장이 전주지검장으로 오면서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검찰은 올 1월 대통령기록관을 압수수색하고, 조현옥 전 대통령인사수석비서관 등 문재인 정부 당시 청와대 인사라인과 서 씨 등을 불러 조사한 상태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전 대통령의 사위였던 서모 씨의 타이이스타젯 특혜 채용 의혹 사건을 전주지검에서 서울중앙지검으로 이첩하는 방안이 검찰 내부에서 거론되고 있다. 법조계에선 ‘친윤(친윤석열) 검사’로 분류되는 이창수 지검장이 서울중앙지검장에 임명되는 등 주요 수사팀 지휘부가 전면 교체된 만큼, 야권을 겨냥한 검찰 수사가 다시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또 문 전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를 겨냥한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현재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김승호)는 ‘타지마할 관광’ 의혹, ‘경호관 수영 강습’ 의혹 등 김 여사가 고발된 사건을 수사 중이다.

다만 사건 이첩의 최종 결정권은 검찰총장이 갖고 있다. 이원석 검찰총장이 전격적으로 이뤄진 이번 인사의 시점에 동의하지 않았던 상황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16일 오전 중앙지검 청사로 처음 출근한 이창수 신임 서울중앙지검장은 전주지검장 시절 지휘했던 문재인 전 대통령 전 사위의 항공사 타이이스타젯 특혜 취업 의혹 사건의 중앙지검 이송 가능성과 관련해선 “관측 기사가 난 건 봤는데 그 문제는 제가 혼자 결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라며 “인사와 관계 없이 누가 맡더라도 제대로 수사될 것”이라고 밝혔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