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 = 최얼 기자] 대장동 민간사업자들과 얽혔던 박영수 전 특별검사가 첫 조사가 이후 22개월만인 지난 3일 결국 구속됐다. 혐의는 김만배·남욱씨 등으로부터 19억원을 받고 200억원 상당의 부동산 등을 약속받았다는 것으로, 이는 박 전 특검의 혐의가 여느 부패 사범과 비교해도 죄질은 좋지 않다는 점을 알려준다.
중수부장 출신인 박 전 특검은 박근혜 전 대통령 등의 유죄판결의 결정적인 역할을 한 ‘최서원 국정 농단 사건’ 수사를 지휘했다. 이런 이력을 가진 그가 법적·도덕적으로 용인될 수 없는 비리 혐의로 구속된 만큼, 법조계에서는 “정의로운 검사를 자처하며 남들을 단죄(斷罪)했던 박영수의 몰락”이란 평가가 나오는 상황이다.
박 전 특검은 대검 중수부장 시절 론스타의 외환은행 불법 매각 사건, 현대차그룹 비자금 사건, 대우그룹 분식회계 사건 등 대형 경제수사를 맡은 바 있다. 이를 통해 ‘검찰의 대표적 특수통’이란 평판을 확보했고, 이와동시에 “정치 성향이 강하다”는 평가도 받았다.
하지만 그는 대장동 일당과 깊게 얽혀 있었다. 대장동 일당중 한명인 김만배씨와는 검사 재직 때부터 친분이 두터웠고, 2015년부터 화천대유의 상임고문을 맡았다. 박 전 특검은 이른바 ‘50억 클럽’ 의혹의 당사자로 곽상도 전 의원에 이어 구속된 두 번째 인사가 됐다. 다른 범죄자들처럼 핵심 증거를 없앤 정황이 그의 구속 근거가 됐다.
그는 ‘50억 클럽’에 대한 특검 논의가 정치권에서 이뤄지던 지난 2월 휴대전화를 망치로 부순 단서가 검찰에 포착된 것으로 전해진다. 또 사무실 PC에 저장된 자료와 종이 서류 등도 일부 폐기된 것으로 알려진다.
검찰은 그가 운영하던 ‘법무법인 강남’에서 박 전 특검의 혐의를 뒷받침할 증거를 찾아낸 것으로 전해진다. 박 전 특검이 2014년 11~12월 남욱씨에게 변협회장 선거자금 명목으로 현금 3억원을 받은 혐의에 관한 증거가 이곳에서 나온 것으로 전해진다.
검찰이 지난달 18일 법무법인 강남 소속 A 변호사의 휴대전화를 압수 수색했더니 3억원 배분 방법을 논의하는 문자메시지가 여러 개 나왔다고 한다. A 변호사는 박 전 특검의 변협 선거 자금 관리를 맡은 인물이다.
현재 박 전 특검은 ‘가짜 수산업자’ 김모씨에게 포르셰 렌터카 등을 빌린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SG증권발(發) 주가 폭락 사태’로 구속된 라덕연씨 관련 회사 2곳의 법률 자문에 응한 것이 드러났다.
이에 법조계에선 박 전 특검의 죄질이 좋지않다는 평가와 함께, 비도덕적 행위라는 질타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수사를 맡아, ‘국민특검’이란 명성을 얻었던 법조인이 비리혐의에 연루되며 부패의 아이콘으로 몰락한 양상이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
더퍼블릭 / 최얼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