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자동차보다 수익성이 좋은 반도체와 의약품에는 자동차 관세(25%)보다 높은 세율을 적용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영국 방문을 위해 백악관을 나서다 취재진으로부터 '자동차 관세를 타협해 25%에서 15%로 낮추면 미국 자동차 제조사가 피해를 본다는 우려가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난 아무것도 타협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미국 자동차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를 비롯해 일본, 유럽연합(EU)에 대한 자동차 관세를 당초 부과했던 25%에서 15%로 낮추는 무역 합의를 타결한 뒤 줄곧 불만을 표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관세 25%를 처음 부과했던 것도 나였다"며 "그들(한국·일본·EU)은 수년 동안 아무 관세도 내지 않았지만 이제 15%를 내고 있고 어떤 것들은 더 많은 관세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는 더 낼 수 있고 의약품도 더 낼 수 있다"며 "반도체와 의약품은 이익률이 (자동차보다) 더 높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에도 반도체에 100%, 의약품에 150∼25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는 관세 때문에 미국에 9500억달러를 내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라"며 "일본은 6500억달러를 내고 있는데 내가 오기 전까지는 아무것도 내지 않던 기업과 국가들"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입장에 국내 반도체주가 역시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오전 10시 13분 기준 삼성전자는 1.89%하락했고, SK하이닉스는 3.38%하락한 상태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