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이 지난 7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체포시도하기 위해 서울구치소에 방문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출정과장실에서 수의를 입은채로 바퀴 달린 의자에 주저앉았고, “조사를 받으러 가지 않겠다”며 버티기에 들어간 끝에 체포되지 않았다.
이에대해 정치권에서는 진짜 특검팀이 윤 전 대통령을 체포할 생각이 있었느냐는 의구심이 제기된다. 구치소 기동순찰팀(CRPT) 등 청년 10여 명이 1시간 15분 동안 특검의 지휘에 따라 윤 전 대통령이 앉아 있는 의자를 들어 바깥으로 데려가려고 시도했음에도, 윤 대통령이 이를 뿌리치고 체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바닥에 떨어져 엉덩방아를 찧었다. 현장에 있던 특검팀 검사는 문홍주 특검보에게 전화를 걸어 상황을 알렸고, 윤 전 대통령은 문 특검보에게 전화로 “(조사실에) 나갈 생각이 없으니 변호사와 얘기하라”고 했다. 결국 특검은 1시간 15분 가량의 체포시도를 중단하고 철수할 수 밖에 없었다.
오정희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피의자가 완강하게 거부했고, 피의자의 부상이 우려된다는 현장의 보고를 받은 뒤 집행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날 영장 집행 과정은 현장에서 동영상으로 모두 채증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체포영장 집행 현장에 있던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과 특검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특검팀 검사 1명과 특별수사관들은 오전 8시 25분경 서울구치소에 도착했다. 앞서 첫 체포영장 집행 당시 문 특검보와 검사, 수사관이 직접 윤 전 대통령의 독방 앞으로 찾아갔던 것과 달리 이날 특검은 수용동으로 가지 않고 건물 외부에서 기다렸다.
교도관이 “옷을 입고 나오시라”고 하자, 윤 전 대통령은 “변호인을 불러 달라”고 말하며 스스로 독방에서 걸어나왔다. 이어 윤 전 대통령은 독방이 있는 수용동에서 나와 수용자 출정 업무를 총괄하는 출정과장실이 있는 별도 건물로 교도관을 따라갔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윤 전 대통령이 수용동을 나설 때 특검팀이 한 차례 체포영장을 집행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특검팀이 수용동 앞에 호송차량을 세워놓고 윤 전 대통령을 태우려 했다는 것. 윤 전 대통령이 “변호인을 불러 달라”며 버티자 특검이 접견실에 대기 중이던 변호인들을 불러왔다는 것이다.
당초 특검팀 내부에선 윤 전 대통령이 계속해서 출석을 거부하면 앞서 내란 특검과 마찬가지로 조사 없이 기소하는 방안이 거론됐던 것으로 알려진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유효기한이 이날로 만료되는 만큼 특검팀은 체포영장을 다시 발부받아 재집행을 시도할 수도 있지만, 윤 전 대통령을 억지로 조사실에 데려오더라도 진술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만큼 체포영장 집행을 추가로 시도하더라도 실익이 없을 수 있다.
이에 정치권 안팎에선 특검팀이 애당초 체포할 생각이 없지 않았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최병묵 전 월간조선 편집장은 "청년 교도관 10여명이 의자를 들었음에도 체포집행을 못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65세이라 팔다리를 붙잡으면 꼼짝도 못한다"라며 "물리력 행사가 아무런 효과도 없다. 그런데도 체포를 집행하려 한건 국민들과 강성지지층들에게 보여주려는 쇼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전했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