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오는 7월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가 시작되는 가운데 ‘막차’를 타기 위한 대출 수요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달 은행 등 금융권 가계대출이 6조원 가까이 또 뛰었다. 이는 연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함께 주택 거래가 늘어난데다 7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를 앞두고 선(先)수요까지 겹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은 주택거래 추이 등으로 미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달 다소 주춤하더라도 7∼8월 다시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은이 11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4월 말보다 5조2천억원 많은 1천155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가 폭이 4월(+4조7천억원)을 웃돌 뿐 아니라, 지난해 9월(+5조6천억원) 이후 8개월 만에 최대 기록이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18조원)이 4조2천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6조3천억원)이 1조원 각각 불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슈 등으로 2∼3월 중 크게 늘어난 주택 거래의 영향이 (5월 가계대출에) 집중된 데다가, 가정의달 관련해서 계절적 자금 수요도 맞물려 신용대출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또 3단계 스트레스DSR 규제 강화의 영향에 대해서도 “5∼6월 중 조금 선수요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고 인정했다.

향후 흐름과 관련해서는 “6월의 경우 분기 말 매·상각이 있어 기술적으로 가계대출 숫자가 높게 나오지 않을 수는 있다”면서도 “하지만 5월 주택거래량이 현재 추세로 미뤄 3월보다는 적고 4월보다는 조금 많을 가능성이 있는 만큼 2∼3개월 시차를 고려할 때 7∼8월까지는 조금 (가계대출 증가세가) 갈 것 같다”고 전망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6조원 늘었다. 증가 폭이 전월(+5조3천억원)을 웃돌고, 지난해 10월(+6조5천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크다.
행(+5조2천억원)이 증가세를 주도했고, 2금융권에서도 4월(+5천억원)보다 많은 8천억원이 불었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5조6천억원 늘어 4월(+4조8천억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신용대출도 8천억원 늘었지만, 4월(+1조2천억원)과 비교해 증가 속도는 줄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