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 대책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원 가까이 늘었다. 이는 10·15 추가 규제 직전까지 주택거래가 늘어난데다가 국내외 주식 투자 수요 등에 신용대출도 뛰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국토교통부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시·구까지 규제지역을 광범위하게 지정했지만 당초 추가될 부동산 대책에서는 강남3구와 한강벨트 등이 거론되면서 상승지 갈아타기 수요가 늘었는데 이 부분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9월 말보다 3조5000억원 많은 1천17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증가 폭은 지난 6월 6조2000억원에서 6·27 대책 영향으로 9월 1조9000억원까지 떨어졌다가 10월엔 3조5000억원으로 늘었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934조8000억원)이 2조1000억원 늘었고,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8조원)도 1조4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주담대 중 전세자금 대출은 3000억원 줄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전세자금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7∼8월 주택거래 둔화의 영향으로 증가 폭이 축소됐다”며 “기타 대출은 국내외 주식투자 확대, 10·15 대책을 앞둔 주택거래 선수요, 장기 추석 연휴에 따른 자금 수요 등이 맞물려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4조8000억원 늘었다. 증가 폭이 전월(+1조1000억원)의 4배 이상으로, 8월(+4조7000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은행에서 3조5000억원 늘었고, 9월 8000억원 줄었던 2금융권(+1조3000억원) 가계대출도 한 달 만에 도로 늘었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3조2000억원 불었다. 다만 증가액은 9월(+3조5000억원)보다 소폭 줄었다.
9월 2조4000억원 급감했던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지난달 1조6000억원 뛰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