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한국은행이 시장에 ‘불’을 지피는 역할은 하지 않겠다면서 23일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한 가운데 오피스텔이 ‘기지개’를 켤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강도 높은 부동산 대책을 펼치면서 은행 또한 대출 총량 관리에 나서는 가운데 오피스텔 등이 대체 주거용으로 부상하는 것이 아니냐는 기대를 걸고 있다.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이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으로 지정되면서 주택담보대출 한도 축소와 스트레스 금리 상향 등 금융 규제가 대폭 강화됐다.
또 실수요 목적 외의 거래 제한을 위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 지정하면서 이들 지역에서 주택 취득 후 2년의 실거주 의무가 부과됐다.
코람코자산신탁은 24일 코람코자산운용이 발간한 ‘2025 국내 오피스텔 시장 보고서’에서 오피스텔 등이 새 수요처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오피스텔 인허가 물량은 2019년 최대(11만6천실)를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보이며 지난해 연간 역대 최소(1만5천실)를 기록했다.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오피스텔 신규 입주 예정 물량이 약 6만1천실에 불과한 가운데, 1·2인 가구 비중이 전체의 67%에 달하며 도심 거주 선호도는 점차 높아지고 있다.
또 올해 수도권 오피스텔의 평균 임대수익률이 5.2% 수준으로 회복되는 등 오피스텔이 수익형 주거 자산으로서의 안정성이 강화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정책 변화도 오피스텔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규제를 통해 당장 부동산 시장 거래가 위축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규제 영향이 적은 오피스텔과 준주택으로 수요가 이동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특히 10·15 대책에서 새로 지정된 토허구역 규제는 주택에만 적용되고, 오피스텔·상가 등 비주택은 기존 주택담보대출비율(LTV) 70%가 유지되면서 오피스텔 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