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한국 증시, 재벌 중심 구조 탓 기업밸류업 성과 한계”

WSJ “한국 증시, 재벌 중심 구조 탓 기업밸류업 성과 한계”

  • 기자명 장미란 기자
  • 입력 2024.09.24 10:46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의도 증권가 (사진출처=연합뉴스)
▲여의도 증권가 (사진출처=연합뉴스)

[더퍼블릭=장미란 기자]정부가 국내 증시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지만 재벌 기업 위주의 증시 구조로 인해 성과에 한계가 있다는 미 언론의 지적이 나왔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잭키 웡 칼럼니스트는 23일(현지시간) ‘한국은 일본의 시장 개혁을 카피하는 데 한계가 있다’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한국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수익률 개선을 기대할 수 있겠지만 삼성, 현대 등 재벌의 힘이 주가 상승을 제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KRX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언급하면서 한국이 지난 2월부터 주주친화 정책을 중심으로 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된 요인이 한국의 인색한 주주환원 정책에 크게 기인했다고 보고 한국 정부가 일본의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나섰다는 설명이다. 

일본은 2014년부터 추진된 기업 지배구조 개선 및 주주환원 개선 정책을 기반으로 종합주가지수인 토픽스(TOPIX)가 2022년 말 이후 40% 상승하는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는다.   

웡 기자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 이후 삼성전자나 금융회사들이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을 크게 늘린 점을 언급하며 주주환원 정책과 관련해 어느 정도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재벌과 같은 거대 기업제국을 통제하는 가족들의 이해관계는 일반적으로 소액주주들의 이해관계와 일치하지 않는다”면서 재벌 기업 중심의 한국 증시가 밸류업 프로그램이 성과를 내는 데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재벌들은 상호출자 등 복잡한 기업 구조를 이용해 지배력을 유지해왔다”며 “이들은 한국 내에서 강력한 경제적, 정치적 영향력을 갖고 있어 일본과는 달리 이런 구조를 해체하도록 쉽게 압력받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한국의 높은 상속세율 탓에 재벌가가 주가 부양을 원하지 않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국 정부의 새로운 압박이 일부 성공을 거둘 수 있지만, 대기업들이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더퍼블릭 / 장미란 기자 pressmr@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