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311/208812_208118_3433.jpg)
[더퍼블릭=최태우 기자]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힘입어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 1위인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5% 이내로 좁혔다. AI 반도체에 필수적으로 탑재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사업에 역량을 집중한 효과를 톡톡히 본 것이다.
26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올해 3분기 D램 매출은 46억3000만달러(약 6조500억원)로, 전 분기 대비 34.59% 증가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D램 매출은 52억 달러(약 6조8000억원)로 17% 증가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1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이 24.7%에 그치면서 미국 마이크론(27.2%)에도 밀려 3위로 하락했으나, 2분기와 3분기를 거치면서 역대 최대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42.8%, 40%, 39.4%로 하락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D램 시장 점유율 격차는 4.4%포인트로 역대 최저 수준으로 좁혀졌다.
이 같은 점유율 격차는 올해 AI 반도체 수요 증가와 맞물려 HBM 매출이 크게 증가한 덕분이다. SK하이닉스는 그간 전략적으로 HBM에 투자를 집중해왔고, HBM 관련 기술에서 경쟁사 대비 한발 앞서 있다.
실제 SK하이닉스는 현존 최고 사양인 5세대 HBM3E 개발에 세계 최초로 성공한 데 이어 글로벌 고객사들과 차세대 HBM4 규격 개발에 나서는 등 주도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특히 최근 차세대 모바일용 D램인 LPDDR5T 패키지를 업계 최초로 출시해 퀄컴 등 주요 고객사와 공급 협의에 나서는 등 고부가 D램 시장에서 삼성의 점유율을 위협하고 있다.
삼성전자 역시 HBM과 DDR5, 모바일용 LPDDR5x 등 하이엔드 제품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3분기 메모리 반도체 적자 폭을 직전 분기보다 축소했다. 지난달에는 HBM3E D램 ‘샤인볼트’를 선보이기도 했다.
한편, 올해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 총매출은 직전 분기 대비 19.2% 증가한 132억4000만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 올해 1분기 93억7000만달러로 바닥을 찍은 뒤 2개 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이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옴디아는 “내년 글로벌 D램 시장 총매출은 올해보다 30% 가까이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퍼블릭 / 최태우 기자 therapy4869@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