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13일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은 김만배-신학림 씨의 이른바 ‘대선공작’의혹이 불거진 직후, 윤석열 대통령에게 ‘부산저축은행 사건 수사’무마 의혹을 제기하는 더불어민주당 측 주장을 전면 반박했다.
윤 대통령이 2011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2과장 시절 맡았던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를 야권이 비판하는 것이 김만배-신학림 씨의 ‘대선공작’의혹을 물타기 하기 위한 방편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이다.
장 최고위원은 이날 유튜브채널 따따부따에 출연해 “민주당이 대선공작 의혹이 불거지자, 부산저축은행 수사를 (윤 대통령이 검사시절) 제대로 못하는 거라고 물타고 있는데, 이건 대통령(이명박)부터 친형, 홍보수석 등등까지 구속시켰는데 어떻게 부실한 수사냐”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 당시 구속된 사람중엔 이명박 정부때, 이 대통령 임기와 함께 끝까지 청와대에 있었던 사람이다. 이 정도 사람까지 수사한 엄격한 수사였다”라며 “그 당시 조우형 같은 사람은 (대장동 불법 대출같은 사건이 수사선상에도 오르지 않아 피해자 신분이 아닌)참고인으로 조사를 받던 사람”이라고 전했다. 당시 조 씨 신분이 대대적인 수사를 받을 만한 상황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야권이 지적하는 부분은 당시 부산저축은행이 대장동 업자들에게 대출해준 것을 왜 윤석열 검사가 수사하지 않았냐는 건데, 윤석열 검사가 수사할 당시였던 2011년에는 대장동 대출건이 수사 대상조차 되지 않았다는게 장 최고위원 주장의 핵심이다.
실제 법무부도 이날 윤석열 검사가 부산저축은행 사건을 무마시키기 어려웠을 것이란 입장을 전했다. 이노공 법무부 차관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윤석열 검사의 수사무마 가능성을 낮게 점치는 이유에 대해 “당시 수사팀이 최대 130명 정도 있었다고 알고 있다"며 "상당히 인원도 많았고, 그 사건을 여론이 주시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그 사항(수사 무마)은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한 상황.
한편, 장 최고위원과 같이 방송에 출연한 민영삼 사회통합전략연구원 원장은 2021년 12월에 보도된 <10년전 부산저축은행 비리수사, 왜 ‘대장동 대출’은 덮었나>란 제목의 진보성향 언론사보도를 언급하면서 “왜 대선 3개월 전에 이렇게 몰아갔는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석열 검사가 부산저축은행 수사에 대해 잘못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언론사가 대선 3개월을 앞두고 윤석열 당시 후보에게 불리한 보도를 한게 부적절하다는 취지의 비판이다. 민 원장은 그러면서 “조 씨는 당시 피의자가 아니었다. (이 조사)는 참고인 조사다. (당시는) 대장동은 수사를 할 수도 없는거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장 최고위원은 ‘부산저축은행’사건이 윤 대통령에게 불리하게 보도된 경위가 친문 검찰이 일부 언론들에게 왜곡된 수사정보를 준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하며, “법무부가 지금이라도 감찰에 들어가서 그 친문 검찰을 찾는게 지금 사건에서 중요한 포인트”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핵심은 대장동에 개발한게 문제가 아니라, 그 개발을 할 때 임대아파트 비율 줄이고, 성남시가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다 포기해서 김만배 화천대유에 준 ‘불공정 개발’이 문제”라며 “개발 자체가 문제인 것 처럼 물타기하는 것도 진보언론의 수법”이라고 꼬집었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