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26만장 전격 공급 배경에는 반도체‧제조‧통신 벨류체인 있었다…“이제 AI 인력 확보 나서야”

엔비디아 26만장 전격 공급 배경에는 반도체‧제조‧통신 벨류체인 있었다…“이제 AI 인력 확보 나서야”

  • 기자명 김미희 기자
  • 입력 2025.11.06 11:10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젠슨 황 엔비디아 대표가 GPU(그래픽 처리 장치) 26만대를 한국에 공급하기로 하면서 우리나라의 AI 생태계 또한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엔비디아는 정부와 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클라우드에 최대 14조원에 달하는 26만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공급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는 이 GPU를 기반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해 자동차·제조·반도체·통신 등 주요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할 전망이다.

물론 엔비디아가 우리나라를 고른 것은 전략적 고민의 흔적이기도 하다. 엔비디아는 최대 14조원에 달하는 GPU 26만장을 한국에 공급하기로 한 것은 우리나라가 이미 반도체·제조·통신·게임·AI 스타트업 등 탄탄한 밸류체인을 구축했고, AI 인프라를 실제 산업으로 전이시킬 수 있는 시장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우리나라는 아직 AI 인재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부분의 인재는 의대로 몰리고 있다. 중국의 경우 최고 인재들이 IT, AI 등 과학계를 선호하는 반면 우니라 인재들 대부분은 의대를 목표로 하는 시스템이 전부다.

특히 AI 인재들의 경우 해외 유출 또한 시급하다. 의대 쏠림 현상에서 과학계 인재들이 설 기반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러한 가운데 6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대만의 경우 정부가 나서서 AI 인재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 매체 보도에 따르면 대만 국가과학위원회 산하 국가고속컴퓨팅센터가 자체 구축한 수퍼컴퓨터 ‘징촹(晶創) 25호’가 대표적이다. 징촹은 ‘반도체 기반 혁신’이라는 뜻이다.

작년 6월 가동을 시작한 징촹 25호는 엔비디아의 AI 서버(H100·H200) 37대, GPU 296개를 탑재하고 있다. 기업, 대학 모두 공모만 통과하면 사용할 수 있다. 같은 시기 엔비디아가 대만에 선물한 수퍼컴퓨터 ‘타이베이 1’도 학계, 기업 모두에 열려 있다. 전체 사용량의 25%는 학계, 75%는 기업(상업)에 할당돼 있다.

젠슨 황 대표는 지난 4월 대만을 찾아 수퍼컴퓨터를 넘어 앞으로 대규모 AI 인프라 시설을 뜻하는 ‘AI 팩토리’를 선물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젠런쭝(簡仁宗) 양밍자오퉁대 전기공학과 석좌교수는 “대학과 정부, 산업계라는 3대 축이 대만 과학자들이 장기 AI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토대를 탄탄하게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학 또한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해 R&D 예산이 삭감되면서 논란이 커지기도 했으나 대만의 경우 보다 더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주력하는 것이다.

이 매체 보도에 따르면 양밍자오퉁대는 인재들에게 월급과 별개로 연구실을 처음 열 때 필요한 ‘스타트업 자금’을 주고, 행정 업무를 줄여준다. 특히 신임 교수들은 행정 업무뿐 아니라 강의까지 대폭 줄여줬다. 연구 그룹 구성이나 외부 연구비 신청, 산업계나 글로벌 연구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쏟을 수 있게 배려하는 것이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