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이유정 기자] 우리나라가 엔비디아와 협력해 대규모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며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의 발판을 마련했지만, 정작 이동통신 인프라 고도화가 제자리걸음을 보이면서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 우려가 제기됐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이날 발간한 ‘AI 이동통신 인프라 고도화의 주요 쟁점’ 보고서에서 “국내 5G 인프라가 상용화 이후 발전 속도가 정체돼 있다”며 “AI 서비스 확산의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AI가 산업 전반과 일상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기 위해서는 AI 컴퓨팅 인프라뿐 아니라 데이터 전송·처리·접근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AI 통신 인프라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5G 통신망의 글로벌 표준은 ‘비단독모드(NSA)’와 ‘단독모드(SA)’로 구분된다.
NSA는 LTE와 5G 기지국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으로 초기 상용화에 적합하지만, 5G의 초저지연·초고속 특성을 온전히 구현하기 어렵다.
반면 SA는 5G망을 단독으로 운영해 자율주행·원격수술·초연결 AI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KT만 5G SA 상용망을 구축했을 뿐,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여전히 NSA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KISDI는 “5G NSA 체계가 고착되면 5G 고유 서비스의 구현이 지연되고, 이는 곧 국가 AI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보고서는 차세대 이동통신으로의 진화를 위해 주파수 공급 확대와 민간 투자 유인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저·중대역 주파수를 활용해 6G로 확장 가능한 5G 장비를 구축하면 네트워크 고도화를 앞당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AI 데이터 트래픽 급증에 따른 통신비 부담을 분산하기 위해 콘텐츠·디지털 서비스 사업자 등의 재원 분담 방안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더퍼블릭 / 이유정 기자 leelyjwo@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