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우리 사회가 고령사회로 접어든 가운데 55세부터 79세까지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1천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령층 약 70%는 계속 일하고자 했으며 생활비가 주된 이유였다. 이들은 평균 73.4세까지 일하기를 원했다. 고령층 절반만 연금을 받고 있고, 그나마도 금액이 월 평균 약 86만원으로 최소 생활비에 턱 없이 못 미쳤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고령층(55∼79세) 인구는 1천644만7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46만4천명 증가했다. 15세 이상 인구의 36.0%를 차지한다.
고령층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는 1천1만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8천명 늘어나며 200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처음 1천만명대를 진입했다. 고령층 취업자는 978만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4만4천명 증가했다.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각각 60.9%, 59.5%로 작년보다 각각 0.3%포인트(p), 0.5%p 상승했다.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이다.
산업별로 고령층 취업자는 주로 보건·사회·복지(13.7%), 제조업(12.5%)에 많았다. 직업별 비율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22.6%), 서비스 종사자(14.5%)에서 높고 관리자(2.1%), 사무 종사자(8.3%)에서는 낮았다.
대부분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는 계속 일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고령층 중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지금도 근무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30.1%, 그만둔 사람의 비율은 69.9%로 나타났다.
그만 둘 때 나이는 평균 52.9세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는 사업 부진‧조업 중단‧휴업·폐업(25.0%), 건강이 좋지 않아서(22.4%), 가족을 돌보기 위해(14.7%) 순으로 높았다.
고령층의 연금 수령액은 월 100만원에 못 미치고, 노동시장에는 더 머물기를 원하는 추세다.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는 850만2천명으로 고령층의 51.7%를 차지했다. 이들의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86만원에 그쳤다.
이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작년 12월 발표한 1인 기준 노후 최소생활비 136만1천원의 63%에 불과한 수준이다.
고령층이 연금만으로는 생계유지가 어려워 계속 일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분석이 나온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