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인해 전 세계가 관세전쟁 후폭풍에 휘말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보복 대응을 한 중국에 부과한 합계 관세율이 145%인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이 이날 공개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파트너의 보복과 지지를 반영하기 위한 상호관세율 수정’이라는 제목의 행정명령에 따르면 기존의 대중 상호관세율 84%를 삭제하고 이를 ‘125%’로 대체한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
여기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펜타닐(좀비마약) 원료를 문제 삼아 중국에 20%(10%+10%)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중국에 부과된 합계 관세율이 145%가 된다는 것이다.
다만 중국을 제외하고 다른 나라에 대해서는 ‘유예’ 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이를 두고 오락가락 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 각국의 피로감이 몰리고 있다. 오락가락 하는 정책 탓에 장단을 어디에 맞춰야 할지 각국도 고심 중이다. 중국 또한 이에 맞불 작전을 펴고 있다.
다만 10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중국과 협상을 하고 싶다”며 “양국에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그는 “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매우 존중한다”며 “그는 오랜 기간 진정한 의미에서 내 친구였다. 모두에게 좋은 결과로 끝날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對)중국 '관세 폭탄'에 대한 중국의 추가 84% '맞불 관세'가 10일 발효돼 시행에 들어갔다.
중국이 미국을 향해 절대로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계속해서 나타내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면서도 중국에 대한 관세만은 125%로 올렸다.
이에 중국 정부는 이날 낮 12시 1분(현지시간)을 기점으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8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 기준 시간 이전에 선적된 화물의 경우 5월 14일 0시 이전에 수입되면 추가 관세는 부과되지 않는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계속 올리자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의 비례 보복으로 대응하면서 관세전쟁이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