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미국이 중국 등 주요국에 관세 공세를 강화하면서 해외 생산시설이나 글로벌 협력망을 갖춘 한국 조선업계도 직·간접적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의 중국 견제가 장기적으로 볼 때는 한국 조선업계에 반사이익이 되는 측면도 있지만, 단기적인 리스크는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업계 ‘빅3’ 가운데 한화오션과 삼성중공업은 중국 현지에 선박 블록 생산 공장을 두고 운영해오고 있다. 인건비 절감과 더불어 생산 속도 확보를 위해서다.
한화오션은 2005년 중국 칭다오에 현지 법인을 설립해 선박 블록과 각종 부품을 생산·가공한 뒤 국내 조선소로 들여오는 방식으로 활용 중이다.
삼성중공업 역시 2006년 중국 룽청에 생산 법인을 세워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조선업체와의 협업 범위를 더욱 넓히고 있다.
실제 지난해 11월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탱커선)의 경우 건조 전 과정을 중국 조선업체에 일괄 하도급을 주는 등 현지 조달 비중이 커지는 모습이다.
다만 앞으로는 이러한 형태의 협업 자체가 사실상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이 제기된다. 미국이 중국산 선박과 관련 부품에 대한 규제 강화에 나설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구체적인 제재 방안이 공식화된 것은 아니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향후 미국이 중국에서 제작된 선박 뿐 아니라 중국산 부품까지 규제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건네고 있다.
이렇게 되면 미국이 중국산 선박이나 부품을 규제하면 중국에서 생산한 블록·부품을 쓰는 선박이 미국 수출길이 막힐 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트럼프의 중국 규제가 국내 조선업계에 나쁜 영향만 끼치는 것은 아니다. 미국이 중국 조선소 전반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일 경우, 중국 조선소들의 미국향 수주길이 막히면서 한국과 일본 등 경쟁 조선사로 발주 물량이 이동할 가능성이 있기에 중장기적으로 볼때는 오히려 호재다.
다만 중국 내 조선 생산 설비와 사업장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의 경우, 단기적인 리스크는 불가피하기에 이애 대한 대응방편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규제가 장기적으로는 국내 조선업계에 반사이익이 될 수 있는 측면이 있지만, 당장은 중국 생산 기지 의존도가 높은 만큼 리스크 관리와 대응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