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대통령실이 국정 후반기를 맞아 인적 쇄신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1심 징역형 선고 이후, 정국 주도권을 잡아 국정 동력회복을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19일 언론보도등에 따르면, 우선 대통령실은 총선 직후 사의를 표명했던 국무총리를 포함한 중폭 개각을 염두에 두고 있다. 민정수석을 중심으로 인재 풀 선별과 검증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개편은 윤 대통령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마친 뒤 본격화할 전망이다.
개각 시기와 대상은 예산 정국 이후 구체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이 쇄신의 의미로 인사 조치를 하겠다고 했으니 기다려봐야 한다"며 "인사 시기는 12월 국회 예산안 심의가 끝난 뒤 연초쯤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
대통령실의 쇄신 움직임은 더불어민주당이 대통령 탄핵과 임기 단축 개헌을 언급하며 대정부 총공세에 나선 상황과 관련 있어 보인다.
지난 7일 사과 기자회견 이후 쇄신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고, 대통령 지지율이 여전히 20%대 초반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과도 맞물려 있으며, 쇄신 드라이브를 거는 전략적 포석이라는 분석이다.
정치권에서는 임명된 지 2년이 넘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주호 교육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등을 포함해 최대 10개 이상 부처 장관 교체 가능성이 거론된다.
특히 총리교체도 유력한 것으로 점쳐진다. 총리 후보군으로는 6선 주호영 국회부의장, 5선 권영세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되며, 이밖에도 호남 출신 이정현 전 의원,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다만 여소야대 상황에서 현직 의원이 임명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도 나온다. 또한 쇄신을 위해 파격적인 인물을 발탁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참고로 지난 총선이후에는 진보진영의 박영선 전 중기벤처부 장관임명의 가능성도 점쳐져 거국내각에 대한 풍문도 나온 바 있다.
아울러내각 경제팀 쇄신 필요성도 거론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에 대비하기 위한 취지다. 트럼프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를 발탁했던 사례를 참고해, 대통령실이 기업가 출신을 경제 각료 후보군으로 물색 중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외교·안보 라인은 트럼프 당선 등 대외 변수에 대비한 시나리오를 준비해 온 만큼, 정책의 연속성을 고려해 현 국가안보실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개편 관련해서는 특검 등 복잡한 정국 상황을 고려해 신중하고 보수적으로 접근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진석 현 비서실장은 유임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전해졌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