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선대 유훈 ‘자주·평화·민족대단결’ 폐기에 범민련 남측본부 등 통일단체 해체 수순 밟나

北 김정은, 선대 유훈 ‘자주·평화·민족대단결’ 폐기에 범민련 남측본부 등 통일단체 해체 수순 밟나

  • 기자명 김미희 기자
  • 입력 2024.02.02 11:05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북한의 연이은 무력 시위와 한국에 대한 전례없는 적대적 발언이 이어지면서 북한의 군사 행동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난 15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자주, 평화통일, 민족대단결’과 같은 표현을 북한의 헌법에서 삭제하고 한국을 “철두철미 제1의 적대국”, “불변의 주적”으로 간주하도록 교육한다는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해 12월 30일 노동당 전원회의에서는 “북남(남북) 관계는 더 이상 동족관계, 동질관계가 아닌 적대적인 두 국가관계, 전쟁 중에 있는 두 교전국 관계로 완전히 고착됐다”고 규정했다.

사실상 남북이 동족이 아니고 불변의 ‘주적’이 됐다고 규정한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2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조국통일범민족연합(범민련) 남측본부와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가 해산 등 조직 재편에 착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범민련 남측본부는 최근 공지문에서 오는 17일 총회를 연다며 ‘해산 총회’와 ‘새 조직 건설 결의대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본부는 최근의 남북 상황을 ‘새로운 격변기’로 규정하고 해산 이후 새로운 연합체를 만들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6·15 남측위도 지난달 31일 총회를 열고 향후 노선을 논의했다.

범민련은 서울과 평양에 각기 남측본부와 북측본부가 있으며, 재독작곡가 故 윤이상 선생을 초대의장으로 한 해외본부는 미주, 일본, 중국, 독립국가연합(구 소련), 호주, 유럽, 캐나다에 지역본부를 두고 있다.

하지만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사실상 ‘자주, 평화통일, 민족대단결’과 같은 표현을 북한의 헌법에서 삭제하고 한국을 “철두철미 제1의 적대국”, “불변의 주적”으로 규정한 만큼 조직 자체가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범민련 북측본부가 사실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할 수 있어 남측본부와 해외본부가 6.15공동선언을 기반으로 하는 통일 교류 등이 불가능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조선일보는 북한인권민간단체협의회를 인용, “남한 내 친‧종북 단체들이 일시에 설 자리를 잃어버린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 ‘강철서신’ 저자이자 ‘주사파 대부(代父)’였던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구위원도 “수십 년 동안 의존해 오던 인식의 틀이 무너졌으니 당분간 내부 혼란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했다.

정부 관계자 또한 조선일보에 “친북 단체들이 조직 해산·재편 등으로 반성적 실천을 하는 셈”이라며 “더욱 과격하고 전면적인 반정부 투쟁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다만, 범민련 관계자는 “내부 노선 혼란 같은 해석은 침소봉대”라며 “조만간 입장을 정리해서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