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북한과 ‘핵군축’ 협상에 나설 수 있다는 일각의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은 11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한 제24차 통합국방협의체(KIDD) 회의에서 북핵 위협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북한의 핵무기 사용을 가정한 도상훈련(TTX)을 실시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하기도 했다.
이는 북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만여명으로 추정되는 핵과학자들을 업어줄 정도로 우대한다고 알려지면서 핵 개발에 매진하는 것을 겨냥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은 사실상 ‘낭설’이라는 분석이 미국 워싱턴 DC의 한반도 전문가로부터 제기됐다. 10일 조선일보 단독 보도에 따르면 31년간 주한미군에서 복무하며 한미연합사령부 최고 전략가 등을 지낸 로버트 콜린스는 10일 발표하는 보고서 ‘폭탄을 위한 노예(Slave to the Bomb): 북한 핵과학자의 역할과 운명’에서 이들의 인권 침해 실태를 상세하게 조명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가 사전 입수한 200여 쪽 분량의 보고서 내용을 보면 이른바 ‘폭탄의 노예’로서의 운명은 이르면 열 살도 되지 않는 나이에 결정된다.
이 매체에 따르면 북한은 시골, 도시 할 것 없이 행정 단위별로 수학·과학에 우수한 인재들을 ‘중앙’으로 선발할 수 있는 체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콜린스는 보고서에서 “지역별로 가장 우수한 학생들을 모아 수학·과학·물리 등 과목별로 영재 교육을 시킨다”며 “두각을 나타내면 온 가족이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해 강제로 이사를 가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또 김정일이 다닌 평양 신원동의 ‘제1중학교’는 영재 교육의 산실로 북한 전역에서 내로라 하는 수재들이 모여든다. 학생들이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 등에 꾸준히 참여할 정도로 수준이 높다.

하지만 한의 원자력 관련 법에 ‘국가가 종사자들의 안전을 보장한다’고 돼 있지만, 실상은 기본적인 안전 시설조차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원자력공업부 등에서 일한 뒤 1994년 탈북한 김대호씨는 “핵개발 분야 종사자들이 우라늄 탱크 속으로 내몰리고, 우라늄 분말·먼지가 무수히 떠다니는 공간에서 호흡하며 살인적인 노동을 강요받고 있다”고 했다. 보고서에는 “분강지구 물리전문대학 출신 100여 명이 인근 영변 핵시설에서 일하다 방사능에 노출돼 정신이 이상해지고, 가족들은 불임·기형아 문제를 겪다 차례로 죽어나갔다”는 사례도 소개됐다.
이 매체에 따르면 관련 분야에 종사했던 탈북민들이 맹독성 가스와 방사능 피해로 인한 백혈구 감소증, 간염, 고환염, 신장염 등 각종 ‘직업병’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2017년엔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지하 갱도를 만드는 공사 중 붕괴 사고가 발생해 수백 명이 매몰되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또 핵과학자들에 대한 당의 감시와 통제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매체에 따르면 보고서는 “각 연구 기관은 물론 핵시설마다 당 위원회가 있어 끊임없이 과학자들을 감시하고 충성도를 시험하는 구조”라고 기술하고 있다.
아울러 각자 연구를 열심히 하더라도 협업을 위한 교류는 철저히 금지된다. 한 개발자는 연구 중인 내용을 주변에 공유했다가 가족들이 모두 체포되는 변을 겪기도 했다고 한다.
보고서는 “북한 정권이 더 많은 주민에게 혜택이 갈 수 있는 방식의 원자력 이용은 하지 않고 있어 핵 과학자들은 무기를 만들고 핵 프로그램 인력을 교육하는 일밖에는 할 게 없다”고 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