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사우디아라비아를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2일(현지 시각)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 간 투자 협력을 수소 등 에너지, 인프라, 전기차, 조선, 스마트팜 분야 등으로 다각화하기로 했다.
원유 수출입이 중심이 된 이른바 ‘중동1.0′ 협력 관계를 첨단 신산업 분야로 확대해 ‘중동2.0′으로 업그레이드하겠다는 것이다.양국 기업은 윤 대통령 국빈 방문을 계기로 156억달러(약 21조원) 규모의 투자 양해각서(MOU) 및 계약 51건을 신규체결하기로도 했다.빈 살만 왕세자 방한당시 290억달러(39조원) 규모 투자 MOU체결 이후 11개월 만에 체결한 것이다.
또 양국은 사우디가 울산에 원유 530만배럴을 비축하기로 하는 등 에너지 공급망 협력도 강화하는 등 에너지 공급망 문제도 어느정도 해소시킬 수 있는 방편을 마련했다. 양국간 에너지 협력은 석유에만 국한되지 않고, 수소나 신재생 에너지로 까지 확대한 상황.
韓-사우디, '비전2030'위해 맞손...尹 빈살만에 "韓, 포스트오일시대 최적의 파트너"

윤 대통령은 이날 리야드 야마마궁에서 사우디 실권자인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에 이어 국빈 오찬을 함께했다. 회담에서 윤 대통령은 “올해는 한국 기업이 사우디에 진출한 지 5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라며 “포스트 오일(Post-Oil·석유 이후) 시대에 한국은 사우디에 최적의 파트너”라고 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양국 관계가 전통적인 에너지, 건설 등 분야에서 자동차, 선박도 함께 만드는 첨단 산업 파트너십으로 발전하는 것은 고무적”이라며 “관광, 문화 교류 분야에서도 협력이 확대되길 바란다”고 했다. 빈 살만 왕세자는 “한국은 사우디 국가 발전 전략인 ‘비전2030′의 중점 협력국”이라며 “한국과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했다. 석유 위주의 경제구조를 제조업이 바탕된 신산업 구조로 바꾸겠다는 ‘비전2030′전략에 한국을 주요 협력국으로 꼽은 것이다.
尹, 사우디 원유530만배럴 울산에 비축 협의...에너지 안보 해결에 '이바지'?

한국과 사우디는 윤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울산에 원유 530만배럴을 비축하는 내용을 담은 에너지 공급망 협력도 강화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을 계기로 사우디 아람코사와 원유 공급안정을 위한 '원유공동비축 계약' 등 2건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산업부와 국내 에너지 유관기관 및 관련 기업들은 사우디와의 청정수소 분야 상호협력 등을 내용으로 한 양해각서 5건도 체결했다. 먼저 체결 계약을 보면 한국석유공사는 사우디 아람코와 '원유 공동비축사업 계약'을 맺었다. 석유공사 울산지사 원유 저장소에 아람코가 자사 원유를 저장·국내외 판매하고, 국내 수급 비상 시 한국이 우선구매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계약기간은 오는 2028년 7월까지 5년으로, 계약물량은 530만배럴이다. 양국간 에너지 협력은 원유에만 국한되지도 않고, 수사공급망이나 신재생 에너지 분야로 까지 확대됐다. 윤 대통령은 현지 언론 '알 리야드'와 서면 인터뷰에서 "양국은 전통적인 에너지 협력이나 자원 수출입 관계를 넘어 플랜트 건설, 수소 공급망 등 다양한 분야로 협력을 다각화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韓-사우디, 156억달러(21조) MOU‧계약51건 신규체결...빈 살만 방문당시 39조 MOU도 '재조명'

윤 대통령은 양국 기업인들이 참여하는 한·사우디 투자 포럼에 참석했다. 포럼에서 양국 기업은 에너지, 인프라, 전기차 등 신산업 분야에서 투자 MOU와 계약 46건을 체결하는 등 윤 대통령 사우디 방문을 계기로 총 156억달러 규모의 MOU·계약 51건을 신규로 체결한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작년 11월 양국 수교 60주년을 맞아 방한한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에서 양국 협력 관계를 원유 수출입 중심에서 첨단 신산업과 에너지 공급망까지 아우르는 전략적 관계로 격상하기로 했었다. 이를 계기로 사우디는 한국 기업과 290억달러(39조원) 규모의 투자 MOU 및 계약 26건을 체결했고, 이번 국빈 방문에서 빈 살만 왕세자와 지난 1년간 계약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후속 조치 등을 논의했다. 이런 가운데 양국 기업들이 윤 대통령 사우디 방문을 계기로 추가로 156억달러 규모의 투자 MOU와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다. 이날 열린 양국 투자 포럼에서 현대차와 사우디 국부 펀드가 4억달러 규모의 합작 공장 건설 계약을 맺는 등 양국 기업은 윤 대통령 사우디 방문을 계기로 수소 등 에너지, 인프라, 제조업 등 첨단 신산업 분야에서 총 51건의 MOU·계약을 맺는다.
韓-사우디,에너지‧MOU이어 방산까지 '논의중'...관건은 '중동정세 안정'

이외에도 양국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 국제사회 현안, 경제, 정치 분야를 포함한 공동성명을 발표하기로 했다. 방위산업 협력을 두고도 논의 중이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리야드 현지 브리핑에서 “한국과 사우디는 양국 협력 분야를 총망라해 협력 현황과 방향을 담은 ‘한-사우디 성명’을 발표하기로 하고, 문안을 현재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윤 대통령은 리야드 야마마궁에서 빈 살만 왕세자와 약 2시간 동안 정상회담, 국빈 오찬 뒤 에너지·안보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방위산업과 관련해선 “대공방어체계, 화력무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우디아라비아와) 대규모 방산 협력 논의가 막바지 단계에서 진행되고 있다”며 “방산 수출시장 외연을 확장해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대통령실은 방산계약 규모에 대한 구체적인 질의엔 이-팔사태 등 현재 중동정세가 민감한 상황이라 밝히기 까다롭다는 입장도 덧붙였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