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아직 ‘공식’ 입장은 없는 상태다. 한미일 정상회의와 관련한 반응을 아직은 내놓지 않은 상태에서 해군 함대를 시찰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해군 동해함대 근위 제2수상함전대를 시찰했고, 경비함의 ‘전략순항미사일’ 발사 훈련을 참관했다.
김 위원장의 순항미사일 시험발사 참관은 이날부터 시작된 한미 연합 UFS 훈련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경향신문은 노동신문을 인용, 노동신문은 “김정은 동지께서는 수상함전대 함선들의 전투 동원 준비 실태와 전쟁 준비 실태, 군인들의 군무 생활, 군항 개건 계획을 구체적으로 료해하시였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함의 전투적 기능과 미싸일 무기 체계의 특성을 재확증하며 해병들을 실전 환경에서의 공격 임무 수행 동작에 숙련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된 발사 훈련에서 단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신속히 목표를 명중 타격”했다고 전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해군이 “현대적인 수상 및 수중 공격수단과 방어수단들”을 갖추고 “함 건조와 함상 및 수중 무기체계 개발을 비롯한 해군 무장 장비 현대화 실현”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해군의 모든 수상 및 수중 함선 부대들이 상시적인 동원성을 철저히 유지하는 것과 함께 훈련이자 전쟁 준비라는 관점”을 가져야 한다며 “실전 능력을 부단히 높여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 매체에 따르면 김 위원장이 이달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를 열고 주요 군수공장들을 잇따라 시찰하며 밝힌 “전쟁 준비” 움직임을 재차 부각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이 해군 함선에서의 전략순항미사일 발사 훈련을 공개한 것은 ·미 연합군사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매년 실시되는 UFS 훈련에 대해 ‘북침 연습’이라는 이유로 반발해 왔다. 이에 올해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는 등 대형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국가정보원은 지난 17일 북한이 한미연합훈련을 겨냥해 ICBM 발사 등 여러 종류의 도발을 준비하고 있다고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한 바 있다.
더퍼블릭 / 김미희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