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명절 수요 영향으로 달걀값이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르는 등 가공식품과 축·수산물을 포함한 먹거리를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가 뚜렷하다.
앞서 이재명 정부는 농축수산물, 석유류 등 민생과 밀접한 주요 품목의 가격·수급 변동 요인에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밝혔지만, 국가데이터처가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06(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1% 올랐다.
발표에 따르면,,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7월 2%대를 기록했다가 8월엔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따른 요금 인하 효과로 1.7%로 반짝 둔화했다. 가공식품 물가는 전달과 마찬가지로 무려 4.2% 뛰며 전체 물가를 0.36%p 올렸다. 특히 빵(6.5%), 커피(15.6%) 등의 상승세는 돋보이는 상황.
임혜영 기재부 물가정책과장은 "전년 동월과 비교한 물가 상승률은 가격이 한번 오르면 효과가 1년간 지속이 된다"라며 "가공식품 물가 인상 요인은 최대한 자제하도록 업계와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마찬가지다. 이 두 품목은 각각 5.4%, 6.4% 오르며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국산 소고기(4.8%), 돼지고기(6.3%), 고등어(10.7%) 등은 전달보다 상승 폭은 줄었지만, 특히 달걀은 추석을 앞두고 수요가 늘면서 전달(8.0%)보다 물가 상승 폭(9.2%)이 커졌다. 2022년 1월(15.8%) 이후 최대폭 상승이다.

이재명 정부는 물가안정 정책의 일환으로 유통구조 간소화를 추진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 산지가격 고시를 폐지하는 등 달걀값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추진 중이다.
이외에도 외식을 포함한 개인서비스 물가는 2.9% 올랐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2.5% 올랐다. 전달(1.5%)보다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됐다. 어류·조개류가 속한 신선어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2.5% 하락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왜 식료품 물가만 이렇게 많이 오르나. 이는 정부의 기능에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라며, 물가안정을 지시한 바 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환율 문제로 수입 식료품의 가격이 올랐다는 취지의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 "환율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정부가 작동하지 않은 측면이 강한 것 같다"며, 전 정부탓으로 돌리는 듯한 메세지를 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또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을 향해 "담합이 이뤄지고 있을 가능성도 크다. (담합으로) 가격을 올려 과도한 이익을 취한 사례가 있느냐"고 물었다.
이어 "독과점 기업에 대한 강제 분할을 미국에선 많이 하는데 우리나라에도 관련 제도가 있나", "가격 조정 명령도 가능한가"라고 연거푸 질문하는 등 구조적 문제나 제도적 허점을 악용하는 사례에 대해 공정위가 강력하고 적극적인 조처를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