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달 8일로 만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다시 연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백악관은 내달 8일(현지시간)까지인 상호관세의 유예 시한을 더 연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상호관세 유예 시한 연장 여부에 대해 질문받자 “아마도 연장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그것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내릴 결정”이라고 답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지난 4월9일 발효했다가 13시간만에 90일간 유예(중국 제외)하는 결정을 내렸다. 유예기간은 내달 8일 만료되는데, 이를 뒤로 미룰 가능성이 있음을 백악관이 시사한 것이다.
당초 이 유예기간은 연장될 가능성이 거론되기도 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과 관세율, 무역 균형,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놓고 협상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합의에 이른 것은 영국뿐인 만큼 유예기간이 연장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이 주요 무역상대국들과 합의에 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간 공공연하게 ‘관세정책’을 요구해온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지난 16일이 되어서야 상호관세 유예 후 처음으로 영국과 새로운 무역협정을 체결했다. 영국의 경우에도 10% 기본관세는 유지됐고, 철강 관세 등은 미봉하는 수준에서 마무리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은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 10% 기본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국가와의 협상은 여전히 풀어나가야 할 숙제다. 특히 유럽연합의 경우 난항을 겪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7일 EU와의 협상에 대해 “대화하고는 있지만 그들이 아직 공정한 거래를 제안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좋은 합의를 하든지, 아니면 우리가 요구하는 대로 돈(관세)을 내야 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미국은 각국과 관세 협상에 나서면서 현재 부과 중인 기본관세 10%를 ‘하한선’이라고 못 박았으나, EU는 이 경우 보잉 항공기를 비롯한 미국산 제품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스테판 세주르네 EU 번영·산업전략 수석 부집행위원장은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미국이 비대칭적 합의를 주장할 경우 일부 핵심 부문에서 보복과 재균형에 나설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럽 에어버스가 보잉과의 경쟁에서 불리해질 가능성을 언급하며 “우리가 균형을 다시 맞추지 않으면 일부 주요 영역을 보호하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최근 “합의가 안 되면 여러 옵션을 사용할 준비가 되어있다”면서 “우리는 우리의 이익을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