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안은혜 기자] 우리 국민의 경제 심리가 최근 11개월 만에 가장 긍정적인 수준으로 측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완화된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1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뉴스심리지수는 108.43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7월11일(110.8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며, 하루 전인 12일에는 109.05까지 상승했다.
한은이 2022년 1월 개발해 매주 월요일 실험적 통계로 공표 중인 뉴스심리지수는 경제 분야 뉴스 기사에서 문장을 추출해 긍정, 부정, 중립 감성을 기계학습으로 분석하고, 긍정과 부정의 비율 차이를 통해 수치화한 실험 통계다. 100을 초과하면 과거 장기 평균보다 경제 심리가 낙관적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지난해 비상계엄 이후 12월10일 77.08까지 추락했던 이 지수는 1월 들어 잠시 100선을 회복했다가 미국 관세 인상 우려가 고조됐던 4월 9일 다시 82.83까지 하락했다가 점차 회복세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추산하는 정치 불확실성 지수는 6월 15일 기준 1.0으로, 비상계엄 직전인 지난해 12월 3일(0.5)에 근접한 수준까지 하락했다. 해당 지수는 지난해 12월 14일 12.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대선을 전후해 급격히 안정세로 전환됐다.
최근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 등 대외 정세 불안 속에도 뉴스심리지수가 상승세를 나타낸 건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완화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최근 2900선을 돌파하며 상승세를 이어가는 코스피와 20조 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점도 경제 심리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해외 투자은행들도 한국 경제에 대해 낙관적인 시각을 내놓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새 정부가 전략산업 재정 지원과 기업 지배구조 개혁을 통해 주식시장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며 "코리아 디스카운트(저평가)를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씨티는 "국회 내 더불어민주당의 강력한 정치 기반, 확장적 재정정책에 따른 성장, 강화된 기업 지배구조, 중국 정부와의 건설적 외교관계 가능성, 재생에너지 기대, 강력한 인공지능 분야 투자 등이 경제적 측면의 기회 요인"이라고 꼽았다.
더퍼블릭 / 안은혜 기자 weme35@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