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현지시각 16일 부터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며 정상외교 복원에 나선다.
이 자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관세협상 추진과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만남 등이 이뤄질지 여부가 주목된다. 이번 G7 회의에는 회원국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외에도 한국과 호주, 브라질, 인도, 멕시코, 남아프리카공화국, 우크라이나 등 총 7개국 정상이 초청받았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전날 브리핑을 열어 “이 대통령이 캐나다 초청으로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16일부터 1박3일간 첫 해외 방문길에 오른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의 대전환 속에서 국익 중심 실용 외교의 장에 나서는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각) ‘에너지 안보’를 주제로 열리는 확대 세션에서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와 인공지능(AI)·에너지 연계를 주제로 두 차례 발언할 예정이다.
실용 외교와 외교 영역 다변화를 공언해온 이 대통령은 이번 회의에서 미국·일본과 양자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한편, 다양한 국가 정상들과 회담에 나설 계획이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이 16일 오후 도착 후 첫 일정으로 이번 회의에 초청받은 주요국 정상과 양자 회담을 하고, 17일 G7 회원국을 포함해 주요국 정상과 양자 회담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세션에서는 이 대통령이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 ▲인공지능(AI) 에너지 연계 등이 주제로 발표될 예정이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만남 가능성도 주목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만남 가능성에 대해 "대화할 기회가 있을 수 있다"며 "이와 관련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특히 관심이 쏠리는 한-미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명확히 밝히진 않았지만, 실현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현재 관세와 안보 등 주요 현안들이 대두돼 있고, 이 대통령은 미국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현안 협상을 타결한다는 입장을 협상팀에 내려놓은 상태”라며 “정상들이 회동한다면 실무 협상의 동력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회담이 성사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나 방위비 분담 문제 등을 꺼낼 가능성을 두고는 “여러 가능성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다. 열린 자세로, 동맹의 정신으로 조속한 타결을 위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미·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두고도 “다자간 일정 조율이 진행 중”이라며 “한-미 동맹과 한·미·일 협력은 우리의 외교·안보의 근간이며, 이 대통령도 이를 여러 차례 강조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