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최근 5년 새 악화해온 중국의 ‘저가 밀어내기식’ 철강 수출에 대한 대응 조치로 결국 정부가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의 관세를 부과한다.
앞서 중국의 철강 수출을 두고 문제가 끊이지 않았는데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철강 부분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7월 중국산 후판에 대한 현대제철의 반덤핑 제소 이후, 같은 해 10월 무역위가 조사 개시에 들어간 지 넉 달여 만에 이 같은 예비판정이 내려진 바 있으며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20일 회의를 열고 중국산 후판에 대한 잠정 덤핑 방지 관세 27.91%∼38.02% 부과를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건의하기로 했다.
철강 업계에 따르면 국내 후판 수요는 2021년 811만t(톤), 2022년 821만t, 2023년 839만t 등으로 꾸준히 800만t 안팎을 기록하다가 지난해 처음으로 780만t을 기록하면서 800만t 아래로 떨어졌다.
이 가운데 후판 수입량은 2021년 126만t, 2022년 190만t, 2023년 222만t, 2024년 206만t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국내 후판 수요량은 줄었지만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늘어난 것이다.
한국철강협회의 수입 통계를 보면 중국산 수입량은 2022년 81만3천t에서 2023년130만9천t으로 1년 만에 61% 뛰어오른 뒤 지난해에는 138만1천t으로 더 늘었다.
지난해 기준 국내 후판 수요량(780만t)에서 중국산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17%가량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정부의 이번 중국산 후판 관세 부과가 국내 철강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을 전망이다. 국내 후판 시장 규모는 약 8조원으로 추산된다.
중국산 후판 가격은 국산에 비해 30∼40% 안팎으로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2023년 1월 기준 국산 유통가는 1t당 105만원이었지만, 중국산 수입원가는 74만8천원이었다. 중국산이 국산보다 28.76% 쌌다.
따라서 국내 시장에서 후판을 생산하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주요 철강사도 경영 환경에 다소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