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2/250580_248909_5740.jpg)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국내 철강업계가 중국·일본산 철강재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이하 무역위)는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예비 판정 회의를 오는 20일에 개최하며, 일본 및 중국산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 조사 개시 여부도 19일 결정할 예정이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7월 중국산 후판, 12월에는 중국·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해 반덤핑 제소를 했다. 무역위는 지난해 10월부터 후판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국내 철강 시장에서 중국산 후판은 국산보다 30%가량 저렴해 국내 업체들의 가격 협상력이 크게 약화된 상황이다. 열연강판 역시 저가 공세가 이어지면서 국내 철강업계는 가격 경쟁력과 수익성 악화를 호소하고 있다.
국내 후판 시장 규모는 연간 약 800만t, 8조원에 달한다. 중국산 후판 수입량은 2022년 79만t에서 2023년 130만t으로 64.5% 급증했으며, 이는 국내 시장의 16.6%를 차지하는 규모다. 반면 국내 후판 수요는 2022년 839만t에서 2023년 780만t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무역위는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예비 판정에서 덤핑으로 국내 산업 피해를 인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예비 판정이 내려지면 잠정적인 덤핑 방지 관세 부과 수순을 밟게 된다. 과거 중국산 스테인리스스틸 후판에 21.62%의 반덤핑 관세가 부과된 전례도 있다.
열연강판 반덤핑 관세를 둘러싸곤 국내 철강업계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고로사인 현대제철은 저가 수입품에 대한 덤핑 방지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열연강판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동국제강, 세아제강, KG스틸 등 제강사들은 원가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일본은 한국의 반덤핑 조사 움직임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일본철강연맹은 무역조치 대응을 검토 중이라며 한국산 철강재에 대한 보복규제 가능성을 시사했다. 지난해 일본에 수출한 한국 철강재는 367만t으로, 국내로 유입되는 일본산 열연강판 규모 190만t을 크게 웃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글로벌 공급과잉에서 국내 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무역구제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세계무역기구(WTO)는 덤핑으로 인한 국내 산업 피해 발생 시 반덤핑 관세 부과를 허용하고 있다. 다만 한국 정부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상 그간 반덤핑 조치에 신중한 입장을 보여왔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 조치가 예고된 상황에서 중국발 저가 철강 제품의 미국 외 시장 유입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미국, 인도 등에서 무역 장벽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철강업계는 원료 구매 경쟁력 약화와 해외 수요처의 특수 강종 대응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무역위의 결정은 이재형 위원장을 포함한 9인의 전문가 합의가 필요하다. 시장 규모가 크고 이해관계자가 많은 만큼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게 무역위 입장이다.
더퍼블릭 / 양원모 기자 ilchimwan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