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영일 기자] 인공지능(AI) 반도체 주도기업 엔비디아가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갈아치운 가운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AI 버블과 관련해 논란이 많지만, 우리 관점은 매우 다르다”며 일각에서 제기하는 ‘AI 거품론’을 일축했다.
19일(현지시간) 젠슨 황 CEO는 엔비디아 3분기 실적 발표 간담회에서 “AI는 지금 강한 성장 동력의 선순환 단계에 들어섰다”며 이와 같이 말했다.
황 CEO는 “AI 생태계는 급속히 확장 중이며 더 많은 새 모델 개발사, 더 많은 AI 스타트업이 다양한 산업과 국가에서 등장하고 있다”며 “AI는 모든 곳에 침투해 일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황 CEO는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인 블랙웰에 대해 “블랙웰 판매량은 챠트에 표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고, 클라우드 GPU는 품절 상태”라며, 하이퍼스케일러(대규모 클라우드 사업자)들의 수요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콜레트 크레스 엔비디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엔비디아가 하이퍼스케일러의 미래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크레스 CFO는 “우리는 현재 하이퍼스케일 업무 전반에 걸쳐 가속 컴퓨팅과 생성 AI로 전환하는 것을 보고 있다”며 “이것이 장기적인 성장 기회의 절반을 차지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크레스 CFO는 미국 정부의 대중국 수출 규제에 맞춰 전용 ‘H20(호퍼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저성능 GPU)’ 칩을 개발했지만 3분기 관련 매출은 미미하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크레스 CFO는 “이번 3분기에 중국에 대한 대규모 구매 주문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지정학적 문제와 중국 내 경쟁적인 시장 때문”이라며 “중국에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대규모 H20 주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 4분기 매출액 전망치를 650억 달러로 제시한 것과 관련해서는 “4분기에 중국에서 데이터센터나 컴퓨팅 매출이 전혀 발생하지 않을 것이란 가정하에 작성했다”며 “4분기 중국에서 관련 수익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엔비디아는 3분기 매출액 570억 1000만 달러를 기록해 사상 최고 분기 실적을 갈아치웠는데, 중국 쪽 매출 발생 없이도 4분기에 또다시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한 것이다.
한편, 엔비디아는 이날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3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1.30달러로 전망치인 1.25달러를 상회했다.
매출액은 시장 전망치(549억 2000만 달러)를 상회한 570억 1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22%, 전년 동기 대비 62% 급증했다. 총마진은 73.4%로 나타났다.
특히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66% 늘어나 사상 최대인 512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매출의 90%에 육박하는 규모다.
엔비디아는 4분기 호실적도 자신했다. 4분기 매출액 전망치를 637억~663억달러로 제시한 것이다. 중간값은 650억달러 수준으로, 시장 전망치(616억 6000만 달러)를 상회했다. 총마진은 74.8%로 전망했다.
엔비디아는 “오픈AI 차세대 인프라 구축에 최소 10GW(기가와트) 규모의 엔비디아 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구글 클라우드,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xAI와 함께 미국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수십만개 GPU를 공급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미지=연합뉴스>
더퍼블릭 / 김영일 기자 kill0127@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