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손세희 기자] 지난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국민연금 외환 스와프 등의 영향으로 4억 3000만달러 감소했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128억 3000만달러(약 568조 7000억원)로, 4월 말(4132억 6000만달러)보다 4억 3000만달러 감소했다. 지난 3월 증가한 바 있지만 이후 두 달에 거쳐 감소세를 보였다.
한은 관계자는 “외화자산 운용수익이 증가했으나 국민연금과의 외환 스와프에 따른 일시적 효과,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감소 등으로 줄었다”라고 설명했다.
외환스와프란 달러 여유분이 있는 은행이 달러 자금이 부족한 은행에 달러를 빌려주고 대신 이익을 얻는 거래를 의미한다. 환율 변동성 완화 목적으로 국민연금과 체결한 외환 스와프 협약에 따라 한은이 달러를 공급했다는 것이다.
자산별로는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704억 1000만달러)이 전월보다 2억달러, 예치금(185억달러)이 3억 5000만달러 줄었다.
반면 IMF(국제통화기금)에 대한 특별인출권(SDR·147억 5000만달러)과 IMF포지션(43억 8000만달러)은 각각 1억달러, 2000만달러씩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는 금의 경우, 전월과 같은 47억 9000달러를 유지했다.
한은은 4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가 중국과 일본, 스위스, 인도, 러시아, 대만, 사우디아라비아, 홍콩에 이어 세계 9위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더퍼블릭 / 손세희 기자 sonsh82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