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윤석열 대통령이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의 수수료 문제 해결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져, 문제해결책이 마련될지 주목된다. 민생점검 일정에서 한 상인이 이 문제를 언급하자, 윤 대통령이 대통령실 참모에게 대책마련을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0일 취임 2주년을 맞아 서울 서대문구 독립문 영천시장을 깜짝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장바구니 물가를 점검했고, 장보러 온 시민에게 “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모든 수단을 강구해 장바구니 물가를 잡는 데 정부의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상인들의 고심도 경청했다. 한 점포 상인은 윤 대통령에게 온누리상품권 수수료가 높아 싸게 팔 수 없다고 호소하자, 함께 동행한 박춘섭 경제수석에게 대책 마련을 지시한 것이다. 상인이 언급한 온누리상품권 수수료는 지난 2022년 8월 도입된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의 수수료를 말하는 것이다.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은 소비자의 신용·체크카드를 ‘온누리상품권’ 앱에 등록해 상품권을 구매 후 실물 카드결제로 결제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전국 2000여 곳의 전통시장과 약 9만6000개의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부터 지류형을 대체하는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을 적극 홍보해왔다. 지류형 상품권과 달리 언제 어디서든 구매가 가능하고, 전통시장 소득공제 40%도 자동 적용된다. 할인율 5%인 지류형보다 카드형의 할인율이 10%로 높다. 10만원을 충전하면 등록된 계좌에서 9만원이 인출되는 거다.
이 제도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실행됐다. 그러나 전통시장 상인들은 기존 지류형 상품권에는 없던 카드 수수료에 부담을 느끼는 상황이다. 충전식 카드형 온누리상품권 자체엔 별다른 수수료가 없지만, 일반 신용카드 수수료와 같은 비율의 수수료가 붙는다. 연 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에선 건당 0.5%, 3억~5억원 이하는 1.1%, 5억~10억원 이하는 1.25%, 10억~30억원 이하는 1.5%다.
다만 카드업계는 앞서 카드사들이 수차례 가맹점 수수료율을 인하한 만큼, 추가인하가 쉽지않다는 입장이다. 실제 카드사의 가맹점 수수료 수익 비중은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7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 전체 수익에서 가맹점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30.54%였지만 지난해 23.2%까지 떨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가 계속 인하될 당시는 저금리 시대였고 연체율도 안정적이었지만, 지금은 금리도 많이 올랐고 경기도 좋지 않아 연체율도 상승하고 있다”라며 “수수료 우대를 받는 가맹점 비율이 90%가 넘어가고 있어 카드사들은 원가도 건지기 힘든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