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꺾이지 않는 가계대출·높은 물가’ 한국은행, 오는 12일 금통위 회의서 ‘금리 동결’ 전망

‘꺾이지 않는 가계대출·높은 물가’ 한국은행, 오는 12일 금통위 회의서 ‘금리 동결’ 전망

  • 기자명 신한나 기자
  • 입력 2024.04.08 12:47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2월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2월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퍼블릭=신한나 기자] 한국은행이 오는 12일에 있을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3.50%에서 동결 결정을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아직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은의 목표 수준인 2%에 도달하지 않은 데다 가계부채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은이 섣불리 기준금리 인하 결정을 내리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1%로 두 달 연속 3%대를 이어가는 가운데 농축수산물 물가는 11.7%로 2년 11개월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다.

지난 2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물가가 목표수준으로 수렴해가는 것이 충분히 확인되는 시점에서 긴축 완화를 시작할 수 있다”고 했다. 즉, 아직 한은의 목표치인 2%에 근접하지 않은 지금은 금리 인하 결정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가계부채 증가세도 꺾이지 않는 상황이다. 3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전월보다 4조 7000억원 늘어난 860조원을 기록해 12개월 연속 올랐다. 2월 기준으로 역대 3번째 증가 폭이기도 하다.

특히 국내 통화정책에 영향을 많이 주는 미국에서 최근 금리 인하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한은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보다 먼저 금리를 내리는 것이 부담일 것이라는 의견도 전해지고 있다.

만일 한은이 이번 금통위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하게 될 겨우 한국과 미국의 금리 차이는 역대 최대 수준인 2.0%P보다 커지게 되므로 이 같은 부담을 짊어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미국이 오는 6~7월 쯤에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한국은 미국의 금리 인하를 뒤따르며 하반기부터 통화정책 방향을 회선할 것으로 보고 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만장일치 동결로 소수 의견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이 7월로 예상하는 만큼 한은은 8월이나 돼야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봤다.

우혜영 이베스트증권 연구원은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밀리는 분위기로 한은의 고민이 깊어지는 상황”"이라면서 “준의 인하 시점이 6월 혹은 7월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한은의 인하 선택을 주저하게 할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연준은 7월쯤 인하하고, 한은도 이르면 7월 혹은 8월쯤이면 인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며 “연준은 연내 3회, 우리나라는 2회 인하를 각각 예상한다”고 말했다.

더퍼블릭 / 신한나 기자 hannaunce@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