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더불어민주당이 ‘현역 의원 하위 평가 20%’ 개별 통보 후 대상자들의 잇따른 반발이 커지는 상황이다. 경선에서 사실상 ‘공천배제’ 수준의 페널티를 받게 된 이들은 일제히 당이 “이재명 대표의 사당(私黨)이 되고 있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이번 총선 공천에서 ‘현역의원 평가 하위 10% 이하’에게는 경선 득표의 30%를 감산한다. 여기에 포함되면 경선에서 회복이 어려울 만큼 타격이 커 사실상 컷오프(공천 배제) 규정으로 불린다.
이에 일제히 반발하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비명(비이재명)계인 송갑석 의원은 21일 임혁백 공관위원장으로부터 ‘의정활동 평가 하위 20%’ 명단에 들었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이 정도면 공천파동이라는 말을 써야 하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20일 “의정활동 평가에서 10%에 포함됐다고 통보받았다”는 박용진 의원은 “오늘의 이 치욕을 공개하는 이유는 민주당이 지금 어떤 심각한 위기에 놓여있는가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많은 분이 경각심을 갖길 바라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정세균계’로 분류되는 4선 김영주 국회부의장은 이에 불복, 민주당에 ‘탈당’을 선언하는 등 반발이 커지고 있다.

또 원칙과상식 멤버로 탈당 의사를 밝혔다가 다시 민주당에 잔류하기로 한 윤영찬 의원 또한 ‘하위 10%’로 통보받은 사실을 전하며 “하위 10%와 20%에 친문, 비명계 의원들이 무더기로 포함된 결과는 괴담을 사실로 확인시켜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에서는 이미 1년 전부터 시스템 공천을 준비해왔다고 밝히고 있지만 현역들의 반발이 커지면서 논란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가결’을 두고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가결표와 기권표를 던진 의원에 대해 해당행위로 징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당시 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총선에서 반드시 심판해야 한다”는 말들이 나오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이번 선거에서 이재명 대표의 ‘특보’를 지난 인사들이 비명계 지역구에 출마하면서 비명계가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
안태준 전 경기주택도시공사 사장 직무대행은 임종성 의원이 불출마한 경기 광주을 출마를 선언했다.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려던 문학진 전 의원은 이 대표에게 직접 불출마를 권고받고 반발하고 있다. 문학진 전 의원도 친명계로 분류되지만 안태준 전 직무대행이 찐친명계라며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21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이 대표 법률대리인인 박균택 변호사는 이용빈 의원 지역구인 광주 광산갑 출마를 준비하고 있고, 정진욱 전 이재명 대선 캠프 대변인은 광주 동남갑 윤영덕 의원과 경선을 치르고 있다. 진석범 전 경기복지재단 대표는 이원욱 의원이 탈당한 경기 화성을, 김문수 전 경기도신용보증재단 이사는 소병철 의원 지역구(전남 순천광양곡성구례갑), 이건태 변호사는 김상희 의원 지역구(경기 부천병)에 출마를 선언했다.
아울러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이 대표 측 변호인들도 나섰다. 이 대표 대장동 사건 등 변호를 맡은 조상호 변호사는 최기상 의원이 있는 서울 금천에서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정진상 전 당대표 정무조정실장 변호인인 김동아(경기 평택갑·홍기원 의원 지역구) 변호사,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변호인인 김기표(경기 부천을·설훈 의원 지역구) 변호사도 비명계 의원 지역구 출마를 선언했다.
이외에도 “의정활동 평가에서 10%에 포함됐다고 통보받았다”는 박용진 의원의 지역구인 서울 강북을에친명(친이재명)계 정봉주 당 교육연수원장 등이 도전장을 냈다. 또 윤영찬 의원의 지역구인 성남 중원에는 친명계인 비례대표 이수진 의원도 공천을 신청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