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신한나 기자] 5만원권이 화폐발행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0%에 육박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전체 화폐발행잔액 176조 8000억 중 5만원권 지폐는 155조 7000억원으로, 화폐발행잔액 중 88.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9년 6월 5만원권 비중이 88%를 넘은 이후 처음이다.
5만원권 유통 규모가 증가한 것은 경제규모가 확대되고 물가 상승 등으로 고액권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 2010년 2월 5만원권 비중은 화폐발행잔액의 30%대, 2010년 9월 40%대, 2011년 8월 50%대로 뛰었다. 2012년엔 12월 60%선에 올라섰고, 2015년 1월에는 70%선마저 뚫었다. 2017년 11월 80%대에 올라선 5만원권의 화폐발행잔액 비중은 2021년 6월 85%를 돌파했다.
반면 1만원권 비중은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 8월 기준 만원권 지폐 발행잔액은 15조6000억원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체 화폐발행잔액 중 8.8%에 해당하는 것으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5만원권 발행 직전인 2009년 5월 1만원권 비중이 86.6%에 달했던 바 있다.
같은 맥락으로 5000원권과 1000원권의 비중은 더욱 감소하고 있다. 5000원권과 1000원권 발행 잔액은 8월 말 기준 1조 4000억원과 1조 6000억원 수준으로, 전체 화폐발행잔액 중 비중은 0.8%와 0.9%에 그쳤다.
한편 5만원권의 화폐 발행 비중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지만, 환수율은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환수율은 시중 유통 후 한국은행을 다시 돌아오는 비중을 말한다. 화폐 환수율이 낮다는 것은 화폐가 시중에서 활발하게 유통되지 못하고 가계나 기업, 금융기관 등 경제주채들이 거래나 예비목적으로 보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5만원권 발행 이후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은 40∼60% 수준을 유지하다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년 24.2%, 2021년 17.4%까지 떨어졌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여파로 대면 거래가 줄어들고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비상용 현금으로 고액권인 5만원을 쌓아두는 경향이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방역조치 완화 이후 5만원권 환수율은 지난해 56.5%로 예년 수준을 회복했다.
더퍼블릭 / 신한나 기자 hannaunce@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