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정부의 원전 운영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노조가 정부 조직개편안에 반대해 금일 시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일 확정된 '정부조직 개편안은 환경부를 기존 기후에너지환경부로 확대 개편해 기존 환경·기후변화 담당 기능에 더해 에너지 등 탄소중립 관련 핵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원자력과 전력 사업을 하는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이 대거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이동하게 된다.
업계에서는 한수원, 한국전력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전력거래소를 포함한 20여개 기관이 이관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수원 노조는 원자력 사업이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이관될 경우 사업 위축이나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한수원 노조 관계자는 “‘탈원전’을 주장하던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이끄는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원전 사업이 가는 것은 매우 우려스럽고 무리라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11일 이재명 대통령이 기존 원전은 ‘합리적 에너지 믹스’ 차원에서 계속 쓰겠지만, 정부 차원의 계획이 확정된 신규 원전 건설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고 밝혔다.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도 이미 정부 계획으로 확정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백지화하고 원점에서 다시 검토하겠다는 방향을 시사했다.
또, 취임 100일을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지금 (원전을 짓기) 시작해도 10년 지나 지을까 말까인데 그게 대책인가”라면서 “안전성(이 확보되고) 부지가 있으면 (건설을) 하지만 내가 보기에는 거의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선을 긋기도 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안 한다는 것은 아니고 원래 계획대로 하면 된다”고 언급하기는 했지만 부지 선정부터 신규 원전 건설에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