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수도권 2기 신도시 내 미매각 용지가 170만 ㎡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공터’로 방치되는 셈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도시지원시설용지 비중을 낮추고 주거용지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29일 서울경제는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인용, 올해 6월 기준 2기 신도시의 미매각 부지 규모는 170만 2000㎡로 집계됐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4조 2000억 원 규모다.
미매각 부지는 LH가 공급 공고를 진행했으나 팔리지 않은 땅을 뜻한다. 매각이 이뤄졌지만 아직 착공하지 않은 부지나 공급 예정인 물량을 포함하면 ‘빈 땅’ 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보면 화성 동탄2의 미매각 부지 규모가 37만 2000㎡로 가장 많았다. 이어 파주 운정3(23만 8000㎡), 양주 옥정(17만 9000㎡), 김포 한강(17만 7000㎡), 양주 회천(15만 7000㎡)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화성 동탄2와 파주 운정의 경우 아파트를 지을 수 있는 총 9만 4000㎡ 규모의 공동주택 용지가 미매각 상태다.

용도별로 보면 상업·업무용이 44만 6000㎡로 전체 미매각 땅의 약 26%를 차지했다. 이어 △주차장·주유소·종교 용지 등 기타(44만 4000㎡) △산업·유통(31만 2000㎡) △단독주택(27만 8000㎡) 등의 순이다.
서울경제 보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도시지원시설용지 비중을 낮추고 주거용지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현재는 지자체가 부지 용도를 변경할 경우 특혜 시비에 휘말릴 수 있는 구조”라며 “중앙정부와 LH·지자체가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부지 용도 변경을 더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