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퍼블릭=정진철 기자] 14일부터 시작되는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최병묵의 팩트'에서 수많은 의혹들이 쏟아지고 있는 현 상황을 집중 조명했다. 특히 국민의힘 의원들이 청문회를 통해 이들 의혹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파헤치고 국민적 공감대를 얻어낼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방송에서는 먼저 김영훈 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김정일 사망 시 방북 시도' 의혹과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및 취업 방해' 의혹을 상세히 다뤘다. 강선우 후보자의 경우, 전 보좌진들의 증언을 통해 "지금까지 드러난 것은 빙산의 일각"이라는 폭로가 이어지며 특정 인원을 따돌리고 왕따를 시켜 나가는 방식, 그리고 퇴사 후에도 '다시는 이 바닥에서 일 못 하게 하겠다'는 경고와 실제 취업 방해가 이루어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는 근로기준법상 취업 방해에 해당하며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는 중대한 사안으로, 수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어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새로운 의혹도 제기됐다. 국민의힘 조승환 의원실에 따르면, 전 후보자는 2012년 총선 낙선 후 4년간 대전 소재 광고 업체인 민국개발에서 약 1억 8천만 원의 급여를 수령했으며, 2012년 9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서울의 오주건설에서 자문역으로 2천7백만 원을 받았다고 한다. 주소지가 부산이었음에도 대전과 서울에서 급여를 받은 점, 특히 총선 낙선 기간에 고액의 급여를 수령한 점을 들어 '급여를 가장한 정치자금' 의혹이 제기됐다. 공소시효는 지났지만, 단순히 용돈이었는지 아니면 특정 민원 해결 등 불법적인 대가가 있었는지는 청문회를 통해 규명되어야 할 부분으로 지적됐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기자들의 자진 철회 또는 사퇴 관련 질문에 대해 "인사청문회를 통해 본인들의 소명을 지켜보고 판단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인사청문에서 잘 소명이 되고 국민적 의혹에 대한 설명도 되리라고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민주당의 '낙마 제로' 기조와 맞물려, 사실상 모든 후보자를 임명하겠다는 강한 의지로 해석된다. 오광수 민정수석의 낙마를 제외하면 현재까지 이재명 정부 초기 내각은 '낙마 제로'를 지키고 있다.
![[최병묵의 팩트] 국민의힘, '청문회 시험대'에 오른 배경 조명](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7/269850_270379_55.jpg)
'최병묵의 팩트'에서는 이러한 대통령실의 태도가 야권의 공격력이 약화되어 있고, 국민의힘 지지층마저 좌절감에 빠져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데서 비롯된 자신감으로 분석했다. 대통령실은 후보자들의 소명이 제대로 이루어지면 국민의힘 의원들이 이를 효과적으로 반박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곧 국민의힘 의원들이 청문회에서 자신들의 '시험대'에 올랐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만약 국민의힘 의원들이 청문회에서 후보자들의 의혹에 대해 명확한 공격력을 보이지 못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한다면, 이재명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은 거의 없을 것이며 모든 후보자가 임명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국민의힘 의원들이 의혹들을 성공적으로 파헤쳐 국민들이 '이런 사람은 장관이 돼서는 안 된다'는 여론을 형성한다면,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져 임명을 철회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고 방송은 내다봤다.
결론적으로, 이번 인사청문회는 단순히 후보자들의 개인적인 문제 검증을 넘어, 국민의힘의 대여 투쟁 능력과 야당으로서의 역할 수행 능력을 가늠하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의혹들을 객관적으로 파헤치고, 국민들에게 왜 이들이 장관으로 부적절한지 명확히 설명할 책임을 안게 되었다.
더퍼블릭 / 정진철 기자 jeong3448@gmail.com